왜 수학 공부 안 하면 안 되나요? 왜 안 되나요? 시리즈 29
손민지 지음, 유명희 그림, 박규홍 감수 / 참돌어린이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수학 공부 안하면 안되나요?> 언젠가 딸아이가 질문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래서 세상을 편하게 살기 위함이란 말을 먼저 했던거 같아요.

저도 가끔 그런 생각을 해봤거든요. 정말 기본적인 수조차 몰랐다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갔을지....만약 그런 상황에 처했다면 너무 답답했을거 같아요.

 



 

요즘 아이들 뿐만 아니라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유행처럼 번지는 '수포자'란 말을

들어 보신적 있으신가요? 바로 '수학을 포기한 자'라는 말이예요.

저 역시 딸아이가 4학년에 올라와 수학을 어려워 해서 함께 공부했었는데요.

작년까지만 해도 수학이 이렇게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4학년 수학책을 보면서...

가끔은 짜증나기도 하더라구요. 애들 문제가 이렇게 어렵다니....

 



 

수학은 처음 기초를 놓치게 되고 고학년이 되면 될수록 따라가기 힘들다고 해요.

기본적인 연산을 완벽하게 해야지만 고학년에서 올라와서도 잦은 실수를 막을수 있구요.

수학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선진국가 에서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죠~

 



 

수학이 우리 생활에서 얼마나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 책을 보면서 더 많이

느끼게 되는거 같아요. 그냥 문제를 풀어서 답을 찾아 내는 것만이 아닌 일생생활에서

꼭 필요한 존재라는 걸 여러 경험을 통해서 알수 있겠더라구요~

또한 논리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데도 많은 도움을 주죠.

아이들이 수학을 어려워 하면서 수학을 포기하는 아이들이 많아 지는데요.

그렇다고 마냥 포기해 버리면 앞으로 점점 더 힘들어 질거예요. 일단 수학 공부의

필요성과 또 흥미를 키워주고 아이의 입장을 이해해 주는것이 중요한거 같아요.

<왜 수학 공부 안하면 안되나요?>는 여러 친구들이 등장하는데 친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통해 수학 공부에 대한 의미와 또 흥미를 유발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거 같더라구요.

저희 딸도 1학기때는 수학이 어렵다고 좀 싫어했었는데 지난 여름방학때 집중적으로 공부하면서

수학이 재미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수학 성적이 쑥쑥 오르더라구요^^

 

 



 

그리고 수학으로 인한 열등감으로 수학에 대한 거부감이 생겨나기도 하는거 같아요.

특히 자신이 생각하는 만큼 점수가 나오지 않았을때 괜히 경쟁 상대의

친구 점수가 궁금해지고 하면서 괜한 열등감만 커지는듯 해요. 하지만 이런 열등감은

오히려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공부에 대한 흥미조차 떨어뜨리게 되겠죠.

수학을 잘하는 지환이를 통해 수학을 잘하고 또 흥미를 갖게 되는 이야기를 들어볼수 있어요.

 



 

요즘은 학교에서 담임 선생님들께서 오답노트를 작성하게 하시는데요.

오답노트를 쓰면서 딸아이도 전에 틀린 문제를 다시 틀리는 실수는 하지 않게 되었어요.

정말 풀었던 문제를 또 틀리게 되면 괜히 더 속상하고 그랬는데 틀린문제를 정확히

알고 넘어가니 두번 실수를 하게 되는 불상사는 피하게 되는거 같아요^^

 


 

 

 

자주 실수하는 문제의 원인을 찾아야 한다는 말에 대박 공감하게 되었는데요.

딸아이는 연산에서 잦은 실수가 있어서 가끔씩 어이없게 오답을 내곤 했는데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완하니 이후엔 연산으로 인한 실수는 거의 없게 되었어요.

자신의 문제점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거 같아요.

<왜 수학 공부 안하면 안되나요?>를 통해 아이들이 쉽게 수학에 대한 흥미를 가질수

있을거란 생각을 했어요. 저도 읽어보며 아이들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이 되어 있더라구요. 그리고 여러 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한 공감대도 형성될거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