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두뇌 만들기 1 - 내 안에 숨은 과학의 씨앗을 깨워라 아이세움 열린꿈터 8
다이앤 스완슨 지음, 윤소영 옮김, 박성은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과학적인 두뇌를 만드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궁금해지는 책이어서 손에 잡게 되었던 이 책은 기존에 내가 가진 생각과는 조금 다른 것이어서 더 손이 가는 것이었다.
과학이라 하면 태어날 때부터 조금은 유전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고 과학적고 함께 수학적 사고력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았으며 그랬기에 조금 나와는 다르지 않을까 생각했던 분야였다.
하지만 저자인 다이앤 스완슨은 내 안에 잠재되어 있는 작은 과학자를 깨우라 말하고 있다.
우리 아이들이 여자 아이들이라 과학을 잘 못하고 관심도 적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 저자는 과학이라는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 교과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어떤 한 분야 혹은 여러 분야에서 잘 하는 것이 있다는 자체로 과학자라고 하고 있다.
즉 누구나 마음 속에 과학자가 있는데 이 과학자라 함은 태어나면서 가지고 있는 자신의 고유 감각이라는 것이다.
맛을 보는 것도 과학이고 무언가를 오래도록 관찰하는 것도 과학이고 문을 세게 잡아당기는 것도 과학이 일부로 그렇게 하면 문소리가 크게 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고 그렇게 된다는 것을 결과로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안에 숨은 과학자 덕에 우리는 많은 것을 알고 있고 깨닫게 되었는데 나는 과학을 싫어해~라는 말로 과학을 멀리 하게 된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에 기록된 여러 과학자들을 보면 이런 생활 속에서 자신만의 과학자를 끄집어 내어서 정말 역사적인 인물이 되었겠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습니다.
끊임없이 질문하고, 상상력에 날개를 달고, 끈질기게 계속하고, 수집하고 분류하며, 관찰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기록하고 패턴을 발견하고 실수에서 배울 수 있고 스스로 실험해서 확인하며 정확하게 측정하고 답을 구하고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서 이루게 된 많은 과학자들의 업적을 보면 우리 역시 가능하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물론 과학이 아니라 어느 분야라도 이렇게 생활하다보면 성공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