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홈스쿨 NIE 학습법
정문성 지음 / 드림피그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매일 아침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놓고 하는 일과는 신문을 보는 일입니다.

아이와 함께 보려고 일부러 신문을 바꿔서 어린이 신문이 오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이들이 그리 잘 보지 않는다는데 있습니다.

일단 아침에 학교 가는 것이 너무 바빠 보지 못하고 하교 후에는 뭔가 할 일들이 많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언제나 엄마의 마음은 아쉽고 아이들의 마음은 그저 그런 존재가 신문이 되었습니다.

아쉬워서 저는 버리지 못하고 스크랩하다보니 자꾸 싸여가지만 정작 아이들은 읽지 않는 악순환이었습니다.

그래서 최근 나온 책 중 [NEW 홈스쿨 NIE 학습법]이란 책을 선택했습니다.

처음 저자의 프롤로그부터 제게는 적잖이 충격이었습니다.

공부 잘하는 아이의 특징을 나열해 놓으셨는데 사실 저희 아이들에게 공부 잘하기를 바라는 것이 무리라는 결론을 가지게 했습니다... 맞는 것도 있지만 아닌 면이 더 많은 듯 해서요~

하지만 이것을 뛰어 넘어서는 아이로 혹은 이런 아이로 크게 하려는 것이 목표이니... 조금 마음을 추스리면서 다음으로 넘어갔습니다.

역시나... 처음 파트인 <신문은 살아 있는 교과서>부분에서 학부모들에게 여러 이야기를 해 주고 계십니다... 신문 교육을 강조하시면서 가장 눈에 띄이는 것은 몸이 움직여야 뇌가 움직인다는 것이 눈에 띄입니다. 그리고 무턱대고 신문을 쌓아놓고 스크랩하던 제 모습을 생각하면서 그렇게 하기 보다는 어차피 각 신문사의 사이트와 신문교육에 고나련된 사이트들이 많으니 활용하면서 필요한 부분만 남겨 놓으라는 부분도 와 닿았습니다.

무엇보다 신문을 읽으면서 또한 아이와 읽어 가면서 글을 쓰는 능력을 기르고 사회를 보는 창을 넓히는 계기를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신문을 보다보면 사회뿐 아니라 아이에게 직접 가 보지 못한 곳을 여행하게 하고 예술, 문화를 경험시켜주며 다양한 개념을 형성시켜준다는 것을 알기에 이 신문 교육은 결코 간과하면 안 된다는 생각이 점점 더 들게 됩니다.

또한 신문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알게 되기도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다시 알게 된 점을 주목해서 아이에게 띄엄 띄엄하던 신문활용교육을 다시 용기 내어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