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7 - 개혁과 자주를 외치다 (1800년~192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7
김윤희 지음, 여미경 그림 / 웅진주니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주보는 한국사 교실>은 1권이 나왔을 때부터 항상 즐겨보는 책이어서 책구성이나 내용에 관해서는 신뢰도가 높은 책입니다.

7권은 <개혁과 자주를 외치다>라는 부제를 가진 1800년~1920년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누구나 한국사를 배운 사람들이라면 알겠지만 전환기의 조선시대로 우리 나라 안에서만 혹은 인근 국가들과 잘 지내던 시기가 아니라 전혀 알지 못했던 지역의 서양인들과 함께 그들의 문화와 여러 가지들이 함께 어우러져서 들어오는 시기여서 너무나 혼란한 시기입니다.

사실 그 이전의 시대보다 워낙 오래도록 유지되던 조선이라는 나라로서는 그냥 잘 지내고 있었다고 생각했던 시절들이 갑작스런 외부의 간섭과 침략으로 자신들의 위치나 생각들에 너무 많은 변화를 갖게 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많은 저항이 있었고 많은 움직임들이 있기도 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내용을 보면서 다시금 생각하지만 어쩔 수 없이 개방을 해야하고 특별히 먼저 개방하면서 서양문물을 받아들인 일본이 나름 우리를 자신의 통치하에 두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기에 더 많은 부분 뺏기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분개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그냥 자리에 앉아 당하고만 있지는 않았던 부분들을 부각하고 있어서 우리 조상들의 모습을 새롭게 볼 수도 있었고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이 많았다는 생각을 다시금 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많은 위인들이 나오기도 하지만 여성들의 지위 향상을 위해 갑신정변에 참여해 여성지위향상에 자신을 바쳤다던 궁녀 고대수의 이야기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도 나옵니다.

지금의 시각에서 보면 왜 그 때 이렇게 하지 못해서 우리의 역사가 더 나은 방향으로 가지 못했을까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사람들이 그렇게 결정할 수 밖에 없었고 시대적 흐름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 것들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즉 한 측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다각적으로 시대를 보는 힘을 길러준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늘 읽으면서 느끼지만 마한교는 어른들이 읽기에도 내용이 충실해서 역사를 알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2인 큰 아이도 이번 역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범위에 해당되는 내용을 읽기도 했으니까요...

다음 편도 꼭 구입해서 아이들과 함께 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