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난 이대 - 하근찬의 대표 단편소설 아이세움 명작스케치 5
하근찬 지음, 오승민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일본의 강제 점령기와  6.26전쟁이라는 너무나 큰 아픔을 겪은 우리 나라의 힘들었던 시기를 보내면서 이 시대를 배경으로 많은 작품들이 나왔는데 그 중 하근찬 선생님의 [수난이대]는 민족적 수난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이라 생각이 든다.
 강제 징용에 의해 한쪽 팔을 잃은 아버지 만도가 6.25전쟁으로 참전하게 된 아들진수를 기다리면서 그 기대와 반가움으로 시작이 되지만 열차  대합실에서 만난 아들의 모습에서 자신의 불행이 대물림된 듯한 모습을 보게 되는 아픔을 가지게 되는 내용이다.

 우리는 일제의 강점기도 전쟁도 겪어보지 못했지만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일본과의 문제들, 전쟁으로 인한 아픔들 그리고 지금까지도 연평도 도발이나 천안함 사태 등에서 보여지고 있는 대치중인 남북한의 상황들을 살아가면서 이 책을 보자니 다시 한 번 아픔과 함께 이 시대를 살아가기에 힘겨웠던 우리네 조상들의 모습을 다시 한 번 보게 된다는 생각이 든다.

 평화의 시대를 계속 살아가다보니 옛날의 아픔은 그저 아픔일 뿐 나의 일이 아니었지만 [수난이대]를 읽어내려가면서 생각하게 되는 것은 역사에 의해 자신이 불편을 감수하며 살아가야 하는 아버지와 또 다른 역사에 의해 상이군인이 되어 살아갈 날이 많지만 또 다시 불편함 속에 살아가야 하는 아들의 모습이 억울한 마음과 안쓰러운 마음이 교차하게 되는 마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부분에 "목숨만 붙어 있으면 다 사는기다" 하면서 외나무 다리에서 아들을 없고 아버지가 들던 고등어는 아들이 들고 건너가는 모습에 안타까운 부자의 모습을 보게 되고 그러면서도 함께 하는 가족임을 다시 한 번 보게 된다.

 우리의 인생이 늘 즐겁고 아름다울 수는 없기에 아이들이 이 책을 통해 힘들고 어려웠던 그 시절을 다시 한 번 생각하면서 아직 끝나지 않은 한반도의 문제를 생각해 보게 되는 계기가 된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아이세움의 이번 책은 보통 초등 고학년 이상이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문고판이 아니라 그림책같은 크기 양장본이며 그림도 함께 나와 있어서  조금 더 어린 연령의 아이들의 손에 들려줘도 충분히 읽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과거가 있지 않으면 현재도 미래도 없는 것이기에 수난이대의 이런 분들이 없었다면 오늘의 나의 모습도 없지 않았을까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