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잘조잘 박물관에서 피어난 우리 옷 이야기 아이세움 열린꿈터 7
김영숙 지음, 지문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요사이 역사 드라마가 많이 등장하면서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옷들이 많이 보이곤 합니다. 그래서인지 그 전에는 조선시대의 한복이 다른 시대에도 있던 옷이려니 하고 무심히 보던 것에서 그 시대를 반영하는 옷들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해 줍니다. 또한 박물관에 다양한 복식에 관한 자료들이 많아 각 시대별로 신분별로 많은 의상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어린이들의 눈높이에서 다양하게 각 시대별로 의상들을 다양하게 알려주는 책들이 간간히 나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근래의 책 중 아이세움에서 나온 [우리 옷 이야기] 역시 우리 아이들에게 다양하게 우리 옷에 관해 알려주는 이야기가 가득했습니다.

 이 책을 지으신 김영숙 선생님은 고고인류학과 박물관학을 공부하시고 박물관에서 학예연구사로 활동하시던 분이십니다.  그래서인지 이 책의 내용은 우리 옷 박물관에서 미라 한복이 전시되면서 각자 옷들이 사람처럼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들을 소개하고 이야기해주는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구분을 지어서 무슨 시대에는 무슨 옷을... 이렇게 내용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 태어나서 입는 배냇저고리와 첫 생일에 입는 돌복, 백년가약을 맺는 혼례복, 죽음을 애도하는 상복 이런 식으로 옷을 입는 때에 따라 혹은 그 쓰임에 따라 소개를 하고 있습니다. 처음부분에는 그림이 나오고 중간 중간 사진으로 각각 옷을 알아볼 수 있게 했습니다. 그리고 옷만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옷과 관련된 것들도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배냇저고리가 나오는 부분에는 아기가 태어날 때 걸었던 금줄이 함께 이야기에 나오고 돌복이 나오는 부분에는 돌잡이에 관한 이야기도 함께 나옵니다. 상복이 나오는 부분에는 조선시대에 중요시 여겼던 종묘제례와 종묘 제례악에 관해 나오기도 했습니다. 신분에 따라 다르게 입었던 다양한 종류의 소개와 함께 조선 시대의 신분제도에 관해 나오고,그와 관련된 옛 그림도 함께 나옵니다. 조금 아쉬운 것은 이 그림들의 제목이나 작가가 나오지 않은 점이긴 합니다.

여름 옷, 겨울 옷을 소개하면서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옷감을 만드는 법도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옷과 관련된 박물관 사이트도 안내되어 있고 마지막 부분에는 시대별로 옷을 정리해 놓기도 했습니다.

 이 한 권을 통해 아이들이 자연적으로 우리 조상의 옷에 대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박물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많은 옷들을 쓰임새에 따라 다양하게 나누어 놓되 자연스러운 이야기를 통해 전개하다보니 쉽게 이해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각 시대의 옷을 보면 그 시대상을 볼 수 있고 풍습이나 기후도 알 수 있다고 하는데 박물관에 자주 못 간다 하더라도 이 책을 통해 저절로 역사 공부를 하게 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