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버즈 호밀밭 소설선 소설의 바다 9
전춘화 지음 / 호밀밭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선족 작가가 정답게 제안하는 더불어 살아가기


“야, 하다못해 마라탕과 양꼬치도 한국에서 정착을 했는데 우린 이게 뭐니.”

담대한 인상을 주는 표지만큼 쉬이 지나치지 못할 문장이다

작가는 거기서 더 나아가 한국인들 입맛에 맞게끔 본연의 맛을 바꾸어 정착한 마라탕도, 양꼬치도 아닌

살아 숨 쉬는 내 고장의 문화를 삶으로 체험한 사람만이 만끽할 수 있는 민족 고유의 음식인 "야버즈"의 꿈을 꾸겠노라 말한다

고립된 언어와 문화로 말을 하며 삶을 살아가는 한국인들은

서로 다른 이념의 공존은 꼭 한쪽의 근간을 뭉개어서

어떻게든 지고 들어가게 만들어야만 진정한 융합이 일어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민족적인 색채가 주는 투박한 맛의 정취를 가만히 곱씹다 보면

내가 나인 채로 너와 함께하고자 할 때 필요한 우리의 자세가 무엇인지

미리 길고도 엄숙한 고민을 마친 작가가 정답게도 먼저 손을 뻗어오는 것이다

나와 다른 사람과 함께 공명하여 마음 깊이 공감하고 동정할 줄 아는 아름다운 사람을 보여주기도 하고 (블링블링 오 여사)

각자의 삶에서 귀하게 여겨지는 가치를 두고 누가 낫고 누가 덜하다는 알량한 셈법으로 판단하고자 하는 사회의 우악스러움을 짚어내기도 하며 (잠자리 잡이)

서로 다른 이념이 극단적으로 공존하는 이 사회에서 우리 개개인은 섬세하게 빚어진 사회와 문화와 공동체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망각한 채 살아가는 현대인을 일깨우는 메세지를 던지기도 한다 (낮과 밤)

그렇게 우리의 것을 잃지 않고 민족의 정기로 여겨지는 '룡두레 우물'을 기반 삼아 '룡'이 되어 날아오르고 싶은 그들이 있다 (야버즈. 우물가의 아이들)

눈을 가늘게 뜨면 모든 것이 축복으로 보인다는 책 속의 구절이 떠오른다 부끄러운 줄 모르는 이기주의가 팽배하는 한국 사회와, 공생을 위한 불편함이 곧 성가심이 되어버린 어른들의 현실이 이렇게나 딱 들어맞는 문장에 탄식이 흘러나온다

후대에 펼쳐질 무한한 가능성을 위해 우리의 것을 지키는 연구에 매진하여 미리 길을 닦는 용주처럼 작가가 남긴 이 책과 분명히 존재하는 희망과 끓어오르는 책임까지 무엇하나 놓지 않고 나 또한 다양한 정체성이 한 사회에 아름다운 색채를 빛내며 공존할 세상을 후대에 선사하기 위해 나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꾸준히 끈기를 갖고 찾아가고 싶다


조선족 작가의 책은 번역가의 손을 거칠 필요 없이 우리말로 쓰여 곧장 나의 세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제야 깨닫는다


우리네 옛 고장을 보는 듯한 소박한 정서의 마을 사람들 이야기가 너무 재밌어 흥겹게 읽어 내려가다 보면 간혹 등장하는 낯선 민족 고유의 단어들이 읽기의 호흡을 늦추는 경험은 그렇게 오묘할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랜선 사회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에이미 S. 브루크먼 지음, 석혜미 옮김 / 한빛미디어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은 일종의 도덕 실험실과 같다


개인정보동의서 전문을 읽지 않고
내가 사용하는 사이트의 신뢰도 파악을 미루며
오정보를 타인에게 공유할 때를 포함하여

다양한 상황을 통해 우리를 방심의 늪에 빠지게 한다



<랜선 사회>는 20여년 간 온라인 커뮤니티의 매커니즘을 연구해 온 저자가 
인터넷 사용자의 보편적 배경 지식을 고려하여 저술한 인터넷 사용 설명서라 할 수 있다

까마득한 우주와 같은 온라인 환경에서 현명하게 유영할 준비를 단단히 시키는 책이다



저자는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의 존망을 목격한 역사의 산증인이란 말이 무색하지 않게
각 장마다 소개 되는 사례들이 참으로 생생하여 인이 박일만큼 인상적이다
(IT 강국인 한국의 얘기 역시 빠지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인터넷 검색만으로 '진실'에 도달할 수 있을까? 

전문가 3인의 심의(논문, 전문 서적)에 대항하는
100명이 넘는 자발적인 동기를 가진 사용자들의 검토(위키피디아 같은 시민 참여 백과사전)에도
온라인 자료의 신빙성에 대해 쉽게 단언할 수 있을까?

3차원의 관점을 가진 우리는 그곳에 진실이 존재한다 해도 곧장 포착할 수 없다
그러니 우리가 아는 지식이란 인류 간 최선의 합의인 것이다

즉 지식의 형성 과정은 사회적이다
사람이 모이기 쉬운 인터넷의 특성 상 지식은 자연히 사회적인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정보와 지식의 차이를 판가름할 또 하나의 조건은 사이트 설계자가 추구하는 가치에 달려있다

가치있다 여겨지는 사이트에는 자연히 의식 수준이 높은 인터넷 사용자가 모이기 마련이다 
설계자가 바람직한 소신을 계속해서 표방하면 온라인 공동체가 생산하는 정보의 질이 높아진다
즉 진실에 도달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무심코 유튜브를 보다가도 '더 바람직한 온라인 플랫폼이 없을까?' 의문을 품는 작은 습관으로 시작하면 어떨까
우리가 읽고 배우고 쓰는 행위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회 정의의 실현이라는 것을 다시 상기할 필요가 있다



자기 합리화와 함께 인터넷을 켰던 사람이라면 불편함을 감수할 가치를 발견할 것이고

반면 '무언가 옳지 않다'는 죄책감을 느끼며 온라인 활동을 해왔다면 역시 깨달음을 넉넉히 챙겨갈 것이다 
이 책은 오래 된 불안을 생산적인 고민으로 바로 잡아준다







쉽게 지나칠 수 없는 주제라 출판사 서평단 이벤트에 참여했는데 기대했던 대로 책장 하나하나 오래 들여다보게 하는 책이다 서평을 작성하는 과정이 정말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