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사는 별은 너무 작아서 의자만 뒤로 계속 물리면 하루 종일 석양을 볼 수 있다.*


우리가 사는 별은 너무 작아서 너와 나는 이 별의 반대편에 집을 짓고 산다.

내가 밤이면 너는 낮이어서

내가 캄캄하면 너는 환해서

우리의 눈동자는 조금씩 희미해지거나 짙어졌다.

우리 사는 별은 너무 작아서 적도까지 몇 발자국이면 걸어갈 수 있다.

금방 입었던 털 외투를 다시 벗어 손에 걸고 적도를 지날 때 우리의 살갗은 급격히 뜨거워지고 또 금세 얼어붙는다.

우리는 녹아가는 얼음 위에서 서로를 부둥켜안는다.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어느 날 이 시를 읽다 문득, 작년 주간 문학동네에 연재됐던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의 글이 떠올랐다.


'해지는 걸 보러 가는 어린 왕자를 만난다면, 나는 기꺼이 그의 장미 옆에서 가로등을 켜고 그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겠다. 왜 슬픈지 캐묻지 않고, 의자를 당겨 앉은 게 마흔세 번째인지 마흔네 번째인지 추궁하지도 않고, 1943년 프랑스 프랑의 환율도 물어보지 않는 어른이고 싶다. 그가 슬플 때 당장 해가 지도록 명령해 줄 수는 없지만, 해지는 것을 보려면 어느 쪽으로 걸어야 하는지 넌지시 알려주겠다. 천문학자가 생각보다 꽤 쓸모가 있다.'

그렇게 우연히 검색창을 열었고, 그때 연재됐던 글이 최근에 책으로 출간된 걸 알게 됐다. 회사에 다니게 된 이후부터 이런저런 이유로 한동안 책을 놓고 있었는데 오랜만에 출근길 지하철과 퇴근 후 저녁 시간 그리고 여유로운 주말 시간에 읽을 책이 생겼다.

별을 좋아한다. 우리 동네는 도시 치고 별이 많이 보이는 편인데 그런 날 별자리 앱을 켜서 밤 하늘을 찍으면 온갖 별자리들로 가득한 하늘을 볼 수 있다. 작년 여름, 친한 친구가 사는 원주에 놀러 간 적이 있는데 그때 친구들과 함께 보던 별이 쏟아질듯한 밤하늘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마치 광활한 우주를 엿보는 기분이었다. 이런 이유로 지난 2주간 어딜 가든 이 책을 끼고 다녔는데 읽는 동안 훨씬 더 많은 이유로 작가님의 글을 좋아하게 됐다. 학부생, 대학원생, 여성, 교수님. 글 속에 담긴 이 모든 역할들이 글을 읽는 내내 밑줄을 치게 만들었다.


'대학이 그들에게 '배운 것'보다 배우는 즐거움과 괴로움을,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만의 의견을 갖는다는 것의 뿌듯함을 일깨워주기를 바란다. 자신을 발견하고 받아들이고 눈을 들어 앞으로 나아갈 세상을 바라보는 법을 배우는, 그 즐거움과 괴로움을, '우주의 이해'에서도, '글쓰기의 이해'에서도, '시민교육'이나 '전자기학', '천체물리학 개론'에서도 가르쳐주길 바란다. 어쩔 수 없이 대학을 꼭 다녀야만 한다면, 대학 졸업장이라는, 그 한없이 틀에 박힌 문서 하나가 주는 즐거움과 보람을 위해 기꺼이 젊음을 바칠 수 있기를, 넘치게 바란다.'


나도 대학에서 배우는 그 소중한 즐거움을 무척이나 좋아했는데 인문대 학생, 그것도 어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에게는 취업에 대한 걱정, 사회에 나가서 무엇무엇을 해야 된다는 그 막막함 때문에 항상 불안해하곤 했다. 그럴 때 이런 이야기를 해주시는 교수님이 계셨다면 조금 더 충만한 대학생활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 미혼의 박사과정생이던 이소연에게 기자는 '골드미스'라는 단어를 꺼냈다. 우주에서는 노화가 빨리 진행된다는데, 여성이니 피부 문제에 신경 쓰이겠다고 했다. 우주에서 생리가 시작되면 어떻게 하겠느냐고도 물었다. 우주가 상당히 춥다더라는 기자의 우려 섞인 질문에는 고산의 대답만이 기사에 실렸다.'


능력이 있고 전문직인 여성에게도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육아에 대한 책임이 뒤따른다.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생명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전문가여도 여자가 남성 우주인 옆에 후보로 있다가 남자의 자리를 대신하게 됐다는 이유만으로 그 전문성은 쉽게 무시되곤 한다. 갑갑하다. 언제쯤 이런 시선이 바뀔 수 있을까.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라는 책 제목에도 그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흔히 천문학자는 관측소에서 망원경을 들여다보거나 밤하늘을 바라보며 우주를 관찰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대부분의 연구는 컴퓨터 모니터 관측을 통해 진행된다고 한다. 이 외에도 책을 읽는 내내 몰랐던 새로운 것들을 알게 됐는데 태어날 때부터 문과형 인간이었던 내게는 이 모든 과정들이 흥미로웠다. 가끔 이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에는 정말 '우주의 이해' 교양을 듣는 문과생이라도 된 기분이었는데 그마저도 대학을 졸업하고 학부 교양수업이 간절히 그리웠던 내게는 너무도 반가웠다. 책을 읽는 동안 주변 친구들에게 이 부분 너무 좋지 않냐며 꼭 읽어보라고 추천을 하고 다녔는데 앞으로도 한동안은 대학생이 된 기분으로 이 책에 푹 빠져지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