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사랑과 가장 먼 단어
박가람 지음, 이진슬 그림 / 누벨바그 / 2017년 6월
평점 :
품절


 

정보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책 읽기를 주로 하다가
이 책의 제목과 책 소개 글에 이끌려 오랜만에 에세이를 읽었다.
이런 문학 작품을 읽으면 마음이 풍요로워지는 것 같다.
[사랑과 가장 먼 단어]라는 책 제목처럼,
이 책은 사랑의 달콤함과 씁쓸함을
작가의 시선에서 풀어낸 책이다.
작가는 사랑과 가장 먼 단어가 '나' 자신을 의미하며,
이 책을 통해 나 스스로를 재건축하였다고 한다.
읽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게
여러 겹의 세상을 표현하였다고 했다.
읽는 사람이 읽고 싶은 대로 읽을 수 있는 글이라니,
재미있고 멋지다.
작가의 감정을 더 잘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
각 글 아래에는 함께 들으면 좋은 음악의 곡명이 적혀 있고
그림과 사진 등으로 글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작가는 사랑에 관한 경험, 생각, 그리고 자신의 속 마음 이야기를
노래하듯이 이야기하듯이 담담하게 풀어낸다.
가슴 아픈 이야기, 씁쓸한 이야기, 설레는 이야기 등
사랑과 삶을 주제로 한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
전반적으로 사랑의 상실과 씁쓸함의 분위기이지만 
그럼에도 다가올 구원에 대해 노래한다.
이성 간의 사랑도 있지만
부모가 자식에게 쏟는 한없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도 있었다.
 내가 평소에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하는 우리말로 이렇게 예쁜 표현을 할 수 있구나 싶은 글도 있고
우울한 독백 같은 글도 있었다.
잠이 오지 않는 더운 여름날 밤 감성 충만한 글을 읽다 보니
어느새 잊고 지냈던 설렘과 안타까움의 감정이 떠올랐다.
나도 언젠가는 경험했을 눈부시도록 환한 감정,
언젠가 또 경험했을 외롭고 불안한 감정,
나는 경험한 적이 없지만 누군가는 경험했을 또 다른 생소한 감정까지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여러 가지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책에서는 은은한 향수 냄새가 났는데
글과 그림, 음악과 향기가 함께 하는 입체적인 독서 경험이었다.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어서 책을 읽는 동안 행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은 엄마 되기 연습 - 불안을 행복으로 바꾸는 20가지 깨달음
이임숙 지음 / 무한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엄마 되기 연습]은

아이를 다 키우고 난 후 깨달은 지혜와 아쉬웠던 점을 모아

초보 엄마에게 조언해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처음 아기를 낳아 기르면서 예전과는 180도 바뀌어버린 삶의 방식으로 인해

엄마는 많이 당황하고 힘들 수 있어요.

이럴 때는 육아에 내공이 쌓인 선배 엄마의 조언이 큰 도움이 되지요.

'아! 그때 내가 이것을 알았더라면..'

'아! 그때 아이에게 이렇게 해주었더라면..'

선배 엄마의 깨달음을 통해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아이에게 할 수도 있는 시행착오와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당시에 분명 최선을 다해 키웠을 텐데도

다시 아이가 어린 시절로 돌아간다면 좀더 아이를 안아주고, 사랑해주고, 함께 웃어주고 싶다는 작가의 말에

아이를 생각하는 엄마의 마음을 절절히 느낄 수 있었어요.

그리고 저도 지금 제 곁에 있는 아이를 더 많이 사랑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어요.

매일 비슷한 일상에 무료함을 느꼈는데 [좋은 엄마 되기 연습]을 읽으니 정신이 번쩍 나네요.

나중에 후회가 들지 않게 아낌없이 사랑을 주고 싶어요.

  

 

'엄마로 사는 게 어떤 건지 알았더라면'

'아이의 몸을 더 많이 토닥여 주었더라면'

'한글을 빨리 가르치려 아등바등하지 않았더라면'

'아이가 금방 큰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이 책은 위를 포함해서 총 20가지의 깨달음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했더라면'으로 끝나는 주제들이라서 더 아쉽고 간절한 것 같아요.

엄마라면 공감하기 쉬운 주제와 재미있는 문체로 한 권이 금방 읽혀요. 

책을 읽으면서 저도 함께 반성하고 다짐하며 울고 웃었어요.


처음 갓 태어난 아기를 안았을 때 이 아이가 내 뱃속에서 나온 아기인가 싶어 얼떨떨했어요.

아기를 낳고 채 한 달이 안되어서 제 눈에서는 아기를 볼 때마다 하트가 나왔어요.

엄마를 보면 누워서 팔다리만 버둥거리던 아기가 어느새 자라서 잽싸게 뛰어다녀요.

엄마가 세상의 전부였던 아이는 계속 자라서 앞으로 더 멀리 걸어갈 것이고 엄마의 도움 없이도 삶을 살아가게 되겠지요.

아이와 함께 해온 시간은 지나고 나면 아쉬움이 남을 거예요.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 때문에 더 진한 아쉬움을 남기는 것 같아요.

하지만 조금이라도 후회가 덜하도록

실컷 사랑하고 지켜보면서 

아이가 엄마만은 오롯이 자신의 편이라고 느끼는 그런 엄마가 되고 싶어요.


끝으로 이 책에서 꼭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정리해 봤어요.


교육의 목표를 '아이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 스스로 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으로 삼자.


아이는 금방 큰다. 아이가 크는 시간 동안 우리 아이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미리 목록을 만들고 싶다.

1년에 한번 똑같은 장소에서 똑같은 모습으로 사진 찍기


하루 종일, 밤늦게까지 아이가 바라보고 있는 건 엄마의 눈길이다.


우리 아이가 다시 어린 아기로 돌아간다면 하루 종일 몸을 쓰다듬고 주물러주고 토닥이며 아이 눈을 바라보며 이야기 나누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