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다리에 숨어 있는 500년 조선 이야기 진짜진짜 공부돼요 6
김숙분 지음, 정림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계천은..서울근교에 살면서도 자주 나가지 못하는 곳이에요..

 

     

    멀기도 하지만..인근에 차들도 많고해서..쉽게 가진 못했지요..

    그러다 등불축제 한번 다녀온 적이 있는데..

    길다랗게 흐르는 물길을 따라..빛나는 등불들 보면서..

    아이와 추억을 만든적이 있지만..청계천의 역사에 대해 생각해 본적은 없었더랬지요..

     

    서울의 한복판을 가로지르며 흐르는 청계천은 서울의 자랑거리며 시민들의 쉼터이죠.. 
    우리가 알아야할건 청계천의 역사가 바로 조선의 500년 역사라는 거에요..^^

     

    청계천 다리에 숨어있는 역사이야기..한번 볼까요?

     

    조선 개국으로부터 시작되는 청계천 이야기..

    무학대사의 도움으로 도읍을 정하고..

    왕십리에서 흐르는 청계천 다리를 무학교로 정한 이야기..

     

    실사진도 첨부되고 자세한 설명까지.. 읽어가는데 도움이 많이 되더라구요..

     

    세종때 만들어진 살곶이 다리는..

    태조와 태종의 갈등이 고스란히 나타난 이 다리의 역사..

    뒤에 성종이 길이와 폭을 훨씬 넗여 태종과 성종의 능으로 가는 길목이 되기도 하고..

    다리 중 유일하게  제자리에 남아있는 다리라고 하네요..

    청계천이 물난리도 다리가 자주 끊기자 태종은 돌다리를 만들기도 하지요.
    이때 쓰이는 돌들이 바로 정릉의 돌들이고..그렇게 만들어진 광통교지요..
    능묘로 가치가 있던 신덕왕후의 신장석은 그렇게 광통교의 기초로 쓰이네요..

    삼촌에 의해 죽임을 당한 어린 임금 단종.
    단종이 왕비 정순왕후와 이별한 다리가 청계천의 영미다리라고 하네요..
    이 다리는 두 사람이 이별하고 영영 못 건너온 다리라고 해서 '영도교'라 불리운다 해요.
    근처에는 정업원이라는 초가 암자에서 정순왕후는 시녀 세명과 살다 82세에 사망했다고 해요

    22개 청계천 다리 모습을 한 장의 그림 지도 안에 담고,

    현재 다리의 위치와 특징, 유래 등을 소개하여 과거와 현재를 알아볼수 있겠더라구요..

    또한, 518년 조선왕조 역사를 정리한 표도 수록하여 역사공부의 이해를 도왔더라구요..
     

    조선시대때 청계천은 백성들에게 놀이터와 같았다고 하네요..
     명절 때면 다리 밟기, 연등행사, 편싸움 등 민속놀이가 열렸고..

    모임의 장소였으며 사람들이 쉬어가는 쉼터였다고 하네요..

    모전교, 마전교, 다산교, 비우당교, 수표교  등 등
    다리 이름이 있어 동네 이름이 생겨나기도 했고,

    동네 이름을 다리 이름으로 삼기도 했구요..

    역사적 인물을 기념해 다리 이름을 짓기도 했으니

     청계천 다리는 조선의 500년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이지요..

     

    일제 시대 청계천으로 바뀌고 1958년부터 도로가 들어서고 20년 가까이 막힌 청계천 다리..
    복원 사업할때 말이 많았지만, 예전처럼 사람들의 쉼터가 되고있는 이 다리..

    옛 모습을 다시 볼수있어..참으로 다행입니다..

     

    아이도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가본 청계천이 이렇게 많은 이야기를 가진 곳인지 새롭게 알았다고 하더라구요..

    다시 청계천을 가본다면..아마 등불축제 갔을때의 그 기분과는 다를것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