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로 떠나는 힐링여행 : 덕수궁 인문여행 시리즈 10
이향우 글.그림, 나각순 감수 / 인문산책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덕수궁>하면..

떠오르는건..돌담길..이문세노래..서울시립미술관..ㅎㅎ

책을 보더니..우리아이는 대한제국..고종..이라고 말을 하더라구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2호선 시청역에서 내리면 덕수궁으로 연결이 되지요..

다른 궁궐에 비해..궁궐스럽지 않은 이유는..

아마 집회장소로 알려진 서울시청과 가까워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덕수궁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궁궐로, 정릉동 행궁으로까지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네요..

경운궁에서 덕수궁이란 명칭을 얻기까지..역사를 알게 되고..

그에 따른 왕들의 역사도 더불어 알게 되니..우리 나라 궁을 알면..그 재미가 정말 쏠쏠하답니다.. 

책과 함께 온 엽서 8장..

정말 갑진 선물이에요..

책을 읽으면서..어떤 곳인지..하나하나 찾아보게 하더라구요..

덕수궁 안내지도..^^

지난번 창경궁도 그랬듯이..

읽으면서..틈틈히..위치 확인하고..읽어내려갔어요..

서울시청앞에 가면 가끔 볼수있는 행렬..

수문장들이 대한문을  굳건히 지키고 있지요

역사적 사실을 재미지게 잘 설명해주셔서..

덕수궁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되었네요..

대한제국의 덕수궁..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겠죠..

대한문을 들어서서 덕수궁 내부로 들어오면 다른 궁궐과는 다른 건축물이 눈에 띄는 건물은...

하나는 동서양 양식이 적절히 혼합된 ‘정관헌’이고,

다른 하나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서양식 석조 건축물 ‘석조전’이네요..

고종은 정관헌에서 커피를 마시고 음악을 감상하며

외교 사절을 만나곤 했는데, 이곳에서 고종에 대한 커피 독살 미수사건도 있었다고 해서 맘이 아프더라구요...

 근대 국가로의 지향을 상징하던 석조전은 1900년에 짓기 시작해서 1910년 완공되었으나

 그 해 국권을 빼앗겨 대한제국의 정전으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아쉽구요..

 

덕수궁에서 덕혜옹주를 만난 고종..^^

덕혜옹주 이야기에 맘이 뭉클해지는건..아마도 소설로도 읽고 전시전도 다녀온터라..

그냥 맘이 안좋더라구요..나라와 시대를 잘못만난 불쌍한 여인..

 

대한제국의 슬픈 역사에 얄미운 일본..

많은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가여운 맘이 들더라구요..

아직..덕수궁은 한번도 가보지 못했어요..

이 책들고..햇살 따뜻해지는 봄이 되면 아이와 함께 덕수궁 나들이 해보고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