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을 지킨 사람들 - 세종 대왕부터 헐버트까지
김슬옹 지음, 이량덕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부터 한글날도 공휴일로 다시 지정하게 되어 한글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어 좋은 기회지만..

요즘은 우리말과 한글이 여기저기서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고 있어요..

도시마다 간판은 영어간판이 넘쳐나고..

아이들의 말이나..인터넷상의 오가는 말들은..도무지 알아들을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정도더라구요..

한글날은 지났지만..

세종대왕의 한글창체 이유와 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

그리고 한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신 분들의 노고를 살펴보면서..

한글을 지키기 위한 우리의 노력도 정말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표지만 봐도..한글에 대한 애정이 마구마구 솟구친다..

 

아이세움 <세종대왕부터 헐버트까지-한글을 지킨 사람들>

글 김슬옹(옹골찬 옹달샘), 그림 이량덕

 이책 작가분도 우리말 가꿈이에 앞장서신 것 같아요..^^

 

 

<위대한 우리 문자 한글>

-한글은 왜 뛰어나고 위대할까요?

온갖 소리를 글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한다..

이것은 한글이 매우 짜임새있고 조화롭게 만들어진 과학적인 글자이기 때문..^^

또한 대칭을 이루는 각각의 글자모양으로 글자가 번듯하고 아름답고 빨리 눈에 들어온다..

쉽게 익히고 쓸수있는 이유이다..

-한글은 세종대왕의 오랜 연구끝에 신하들의 반대에도 무릎쓰고 만든..정말 귀한 문자다..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소리를 담은 글자), 언문(백성들이 쓰는 쉬운 글자)이라고도 불렀지만..

주시경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새로이 짓게 되었다.

 

한글을 창제하고 널리 쓰이게 하시 위해 정말 애쓰신 세종대왕부터..한글 지킴이들의 노력은 시작된다.

창제전부터 사대부들의 반발로 반포도 하기 힘들었던건..티비나 책을 통해..알려진바..

만약..반포되지 못했더라면..어떻게 되었을까..우린 아직도 중국 문자인 한자를 쓰고 있었을까..

하는 오싹한 생각도 든다..

세종대왕..소통의 기적을 이루신..정말 위대하신 분이다..

절대음감으로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를 도운 세종의 둘째 딸 정의 공주,

세종의 뜻을 이어 훈민정음을 널리 알린 세조..

외국어에 정통한 훈민정음반포의 일등 공신 신숙주와 한글로 실용서도 많이 편찬한 성종..

그리고 한글 교육의 길을 연 최세진

한글소설 홍길동전으로 새 세상을 꿈꾼..허균..

한글 문학의 힘을 실천한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지은 김만중..

한글 문법의 뼈대를 세운 선구자..주시경..

그리고 우리말 문법과 한글 전용의 완성인 그의 제자 최현배..

일제 탄압에서도 우리말 사전 편찬에 앞장선 이극로..

 

일제 강점기에서 우리나라 말도 글도 못쓰게 했던 일본의 탄압속에서

우리말과 글을 지켜낸 지킴이들처럼..

우리는 이제 우리말과 글의 가꿈이가 되어야겠다..

1. 나뿐아니라 다른사람의 마음과 기분까지 좋아지게 하는 아름다운 말글 가꿈이 되기..

2. 소통하는 말글 가꿈이 되기..

3. 한글 홍보대사 되기..

4. 우리말글 활동 열심히 하기..

5. 우리말글 사랑하기..

국어가 경쟁력이다..!!라는 말이 깊이 떠오른다..

우리가 우리말글을 사랑하고 지키고 가꾸어야..우리말글의 수준도 올라가고..문화수준또한 올라간다..

우리가 다음 세대에 물려줄 가장 큰 유산..한글..

지키는데..앞장서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