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탄불의 사생아
엘리프 샤팍 지음, 한은경 옮김 / 생각의나무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일단 책이 두껍다는 점~

이번 감상은 <이스탄불의 사생아> 입니다. 제목이  

묘해서 내용이 꽤 궁금했어요. 책도 570 페이지에

달해 은근 두꺼워서 잘 읽어낼수나 있을라나 했는데

걱정과는 달리 꽤 술술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만큼

스토리는 읽기 재미있어서 책읽는 진도가 쭉쭉

나간다는거죠. 

  

 

 

 

 

 

 

 

이스탄불의 사생아

작가
엘리프 샤팍
출판
생각의나무
발매
2009.12.12

 

리뷰보기

 

 

 

 

 

 

 

 

 

이스탄불의 사생아

 

책의 이야기는 두 가족을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하나는 터키에 살고 있는 한 가족이예요. 대대로  

남자가 귀한 집안인데 남자 아이가 잘 태어나지  

않거나 집안의 남자 어른이 어이없을만큼 이상한  

사고로 거의 다 죽어버린 그런 집이예요. 그 집  

딸 중 하나가 아빠를 알 수 없는 여자 아이를  

낳아요 이름은 아시야구요. 

그리고 두번째 가족은 이 집의 유일한 남자인  

- 어릴적 이 집안의 남자들에게 드리운 죽음의  

그늘을 벗어나게 하기 위해 어릴 때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버린 - 아들이 미국에서 이룬 가족입니다.  

이 아들은 한번 이혼한 경험이 있는 여자와  

결혼을 해서 살고 있는데요, 부인과 그 전남편  

사이에  딸이 하나 있습니다. 딸의 이름이

아마누쉬예요. 전남편은 아르메니아계 사람이구요. 

 

그리고 터키와 아르메니아 사이의 역사가  

있습니다. '아르메니아 대학살' 이라고  

불리는 터키와 아르메니아 간 분쟁이

바로 그것입니다.  

 

분쟁에 관한 참고자료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02&docId=1637299&mobile&categoryId=502 


 

이 소설의 이야기는 아르메니아계 아빠를  

둔 아마누쉬가, 자신의 정체성과 역사의  

상황을 직접 두눈으로 확인해 보겠다며  

터키에 있는 새아빠의 고향집으로 찾아가서  

그 집의 비슷한 또래인 아시야를 만나고  

함께 지내면서 일어나는 일들이 큰 줄거리  

입니다. 이 터키의 집안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갈등, 미국의 아들-부인-전남편네  

집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갈등, 이 두 집안 

사이에 너무나도 복잡하게 얽혀 있는  

가족사, 그리고 터키와 아르메니아 사이에  

있었던 역사의 이야기가 복잡하게 꼬이고

꼬인 채로 이야기는 진행됩니다. 정리하자면,  

터키와 아르메니아 사이의 역사적 분쟁,  

그리고 터키 가족의 이야기와 아르메니아

가족 이야기가 얽히고 섥혀 있다고 생각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쯤되면 아, 이 소설의  

내용이 대충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겠구나  

짐작이 되실거라 생각이 드네요. ㅋ

 

 

우선 이 어렵고도 힘든 역사적 분쟁을  

소재로 글을 쓴 엘리프 샤팍이라는 작가에게 

경의의 박수를 보내고 싶어요. 이것은  

대단히 어럽고도 위험하고 무서운 글쓰기임에도 

불구하고 어쨌든 이런 한편의 글을 완성해  

냈다는 것은 진심으로 대단하고도 엄청난 

일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마치 독일과 폴란드  

사이에 있었던 이야기를 쓰는 것, 혹은 

한국과 일본 사이에 있었던 이야기를 쓰는  

것과도 비견될만한 그런 작업인거죠.  

 

일단 이런 소설을 잘 쓰신 것에 대해서는  

박수를 보내나, 그 내용에 대해서는 사실 

고개를 갸웃하게 만들거나 의문을 제기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한번 얘기를  

해 보죠. 일본인 새아빠를 둔 딸이 새아빠의  

일본 고향집에 찾아와서 그집에 있는 같은

또래인 일본 여자아이와 같이 지내는데,  

그러면서 그곳의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 :

우리들의 조상들이 한 일이라 잘 모르겠고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거기까지  

미처 알거나 생각하지 못했다 라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면 이런 이야기를  보고

들을 한국인들은 뭐라고 할까요? 이런 뭐  

병X같은 상황이 있나라고 할 사람이 적지는  

않을 것 같네요. 

 

근데 사실 알고보니 이 두 집안의 증조,  

고조대에서 함께 생사를 넘나들며 도움을  

주고받았고 알고보니 모두가 한뿌리의 집안 

이며 사람들었으니 서로에게 반목과 역사적  

문제로 인한 앙금을 떨쳐내고 서로 화해하고  

모두 같이 행복하게 살자꾸나 라고 누군가  

얘기해 줬다면 상황은 어떨까요? 아, 그렇구나.. 

우린 알고보면 모두 같은 한집안 한가족일  

수도 있겠구나, 우리가 알지 못했던 저 오래된  

옛날에 그러한 인연이 있었으니 서로  

적대시하지말고 대화합의 미래를 펼쳐야  

겠구나.. 라고 생각할까요? 아마 한국에서는  

이건 또 뭔 X소리인가 라고 얘기할 사람이  

적지 않을 겁니다. 가해자의 입장에서는  

어떨지 모르겟으나 피해자의 입장은  

그리 쉽게 이야기 할 수 있는게 아니잖아요  

더군다나 그것이 민족이나 국가간의 분쟁 

수준이 되면 대단히 어려운 문제가 되겠지요.

 

조금은 어렵고 무거운 이야기가 나왔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한번은 읽어볼만한

충분히 흥미롭고 재미있는 소설입니다. 아시죠? 

비평과 감상은 전적으로 개인의 몫이라는 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