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을 넘지 않는 사람이 성공한다 - 안전거리와 디테일이 행복한 삶의 열쇠다
장샤오헝 지음, 정은지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어떤 사람이었나 먼저 돌아보게 만드는 책이다.

청소년기에는 되게 무례한 사람이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게 맞는건지 알았고 , 저자가 말하는대로 무례함의 끝이었던 것 같다.

"다른 이에게 하는 선한 말은 옷보다 따뜻하고, 다른 이에게 상처 주는 말은 가시보다 깊이 박힌다." -순자

되돌아 생각을 해보니 내 말 한마디에 상처받아 친구들도 꽤나 울렸던 것 같다.

언제 부턴가 내가 너무 사람들에게 무례한게 아닌가를 느끼고 말을 아낀다고 하지만 그래도 툭툭 튀어나오기도 하는걸 보니 , 나의 대화법은 고쳐야 할 점이 많다는걸 깨닫는다.

말을 하기에 앞서 3가지를 생각해보고 말하라고 한다.

이것이 진짜인가? 성의에서 나오는것 인가? 과연 필요한 일인가? 이렇게 세번 되뇌이고, 적어도 뭔가 어긋난다는 것을 알아 차렸을대 자신의 입을 다물수 있을 것 이라고 한다.

또한 내가 흥분하면 목소리가 엄청 커진다.

왜인지 모르겠는데 한참 말하다 보면 잘했든, 못했든 내 언성이 엄청 높아져 있는걸 느끼곤 왜그랬지 하는 생각을 자주하기도 한다

하지만 목소리가 큰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 이란걸 다시 한번 꼬집어 느끼게 된다.

대부분 말을 잘하는 사람이든, 성공한 리더들의 습관들의 공통점을 보면 말을 장황하게 하거나, 큰소리를 내지 않고 딱 할만만 강렬하고 짧게 한다는게 특징이라고 한다.

요즘 이런 부류의 책들을 많이 읽다가 느낀 공통점이기도 하다.

혹 가다 이런 사람들도 있다.

웃으면서 계속 받아주고 잘해주다 보면, 정말 만만하게 보고 무례한 요구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상대의 요구를 계속 들어주면 벼랑 끝에 선다는 말이 딱 그짝이지 않나 싶다.

타인이 계속해서 무리한 요구를 할 경우 단호하게 아니오 라고 말할 용기도 있어야 한다는게 정말 필요한 것 같다

난 좀 단호하게 말을 하는 편이긴 한데, 주위 사람들을 보면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귀신같이 알고 무리한 요구를 계속 늘어놓는다.

당연 거절도 못하기 때문이다.

몇번 나서서 대신 해주곤 했는데 결국 나만 이상한 사람이 되고, 나만 나쁜 사람이 되는 이상한 상황이 자꾸 연출되기도 한다.

과연 나는 선을 넘는 사람인가? 침범당하는 사람인가? 둘다 이기도 하다.

어쩔땐 아슬아슬 넘을듯 말듯 할때도 있고, 어쩔땐 침범을 당해서 기분이 나쁠때도 있기도 하니 말이다.

늘 인생에서 상황은 똑같지 않기 때문에 그런게 아닌가 싶다.

나는 가끔은 대인배처럼 넓은 아량을 가지기도 , 또는 가끔은 악역이 되기도 하는 그런 사람인 듯 하다 .

살면서 한번쯤 이 책을 읽어보는건 너무 좋은것 같다. 나의 행동거지나 말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수 있는 책이라 배울점이 많았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