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파생상품
유인금.김정태 지음 / 팜파스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5월달 ELS라는 상품을 알게 되었고, 그 구조를 보니 매우 흥미로운 구조였다. 코스피200과 대기업 주가 2가지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60%이하까지 하락하지 않는다면 약 연19%를 지급한다는 조건이었다. 한참 주가가 좋았던 시기였다. 60%면 거의 반토막이 나는 수준이란 생각이 들었고, 1년 만기여서 걱정이 덜했다. 1년 안에 주가가 폭락하는 일은 없을 것 같았다. 우선 한 상품에 가입을 하게 되었고, 한달 뒤 조기상환이 되었다. 마침 천만원 가량의 목돈이 있어 정기예금 가입을 고려하던 때라, 정기예금 보다 훨씬 매력적인 수익률에 이끌렸다. 그리고 현재 60% 이하로 하락한 기초자산이 발생하였다. 펀드야 손실나면 묻어두고 간다지만, ELS는 1년 만기라 1년 후 회복이 안되면 손실 발생을 막을 순 없었다. 파생상품의 위험성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가입하기 전에도 이런 위험성을 알고는 있었지만, 세계 경제에 대한 깊은 통찰이 부족한 것이다.

현재 세계 5대 경제 대국인 미국,일본,독일,중국,영국의 국내총생산을 모두 합한 것보다 무려 10배나 많은 돈이 파생상품 시장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눈에 보이지 않는 돈에 대해 거래한다는 것이 신기하였다. 이 책은 파생상품을 쉽게 설명해 놓았는데 우리 주변에 보는 아파트의 딱지가 그것이었다. 딱지를 구입한 후 아파트 값이 오르면 딱지의 권리를 행사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권리를 포기하고 아파트를 구입 안하면 된다. 여기서 아파트는 기초자산이 되고 딱지는 아파트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이다.

- 장내파생상품 : 코스피200 선물이나 옵션같이 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것.

- 장외파생상품 : 금융기관과 금융기관, 금융기관과 일반 기업 간의 맞춤형 거래가 이뤄지는 파생상품

 

‘완벽’을 향한 인간의 욕망은 새로운 금융상픔 개발로 나타났다. 금융 관계자들은 미래 곡물가격의 불안정을 제어하기 위해 ‘곡물선물’을 만들었고 날씨에 대한 통제권을 얻기 위해 ‘날씨파생상품’을 만들었으며, 신의 고유한 영역인 ‘죽음’에까지 그 영역을 넓혔다.

저자는 어려운 전문 용어를 지양하고 가능한 쉽게 파생상품시장에 접근 하고자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 파생상품의 동향과 나를 포함한 일반 고객들에게도 익숙한 ELS와 ELW를 비중있게 설명하고 있었고, 투자자 입장에서 유용한 실전 투자기법을 소개하고 있었다. ELS를 투자하기 전에 조금 더 일찍 읽어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또한 저자는 파생상품을 운용해야 하는 이유와 그 전략을 쉽게 설명하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파생상품에 한번 호되게 당해서 앞으로 파생상품에 다시 투자 할 마음이 생길런지는 모르겠지만, 경제신문기사나 방송에서 자주 등장하는 파생상품의 종류와 정의 정도는 반드시 알아둬야 되지 않나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