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풍당당 한국사 - 동아시아의 참역사를 바로 잡아주는
박선식 지음 / 베이직북스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제목처럼 이제는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 당당해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가끔씩 불거져 나오는 일본의 독도문제와 중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이야기들로 우리의 역사가 세계속에서 당당히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것 같아 안타까울 따름이다.

우리의 땅이라고 확실하게 기록되어 있는 문헌들이 빨리 발견되어서 제대로 된 우리의 역사를 찾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 책의 특징과 기획의도는 다음과 같다.

본서는 역사적 사료들을 근거로 저자의 재해석에 의해 탄생된 기획서이지만 통치자적 관점의 역사책으로써 5000년간 한민족 대외 정벌사를 연대기적 서술방식으로 저술했기 때문에 이 한권의 책으로 충분히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고, 역사를 재평가함에 있어 자료로서 부족함이 없을 것이고 한민족의 역동성과 적긍성을 새롭게 발견하고 느껴보는 계기를 제공하고

한국인의 자존심과 긍지를 일깨워 주는 계기로 삼고 동북아시아의 역사적 진실과 사실을 고증해보는 기회로 삼길 바라는 마음에서 기획되었다고 한다.

 

이 책은 상고시기 전설절 전쟁이야기에서 부터 단군이야기, 고구려와 삼국에 걸쳐 조선에 이르기까지의 대외관계와 동아시아속에서의 한국의 위상과 한민족의 역할과 업적들에 관한 이야기들이 실려 있다.

백제에 관한 공부를 하고 있는중이다 보니 백제에 관한 내용에 관심을 많이 두고 읽었다.

<일본서기>의 '신공왕후' 섭정기록을 보면 백제는 왜와 적절한 외교 관계를 굳히며 실리를 추구한 것로 알려진다.

이에 따르면 백제는 왜와 교류를 맺기 이전에 나라의 창고까지 내보이며 경제력을 과시했다고 한다.

백제의 이와 같은 국력은 중국 일원까지 진출하면서 낙랑의 변방을 치고, 하북성 지구를 점령하기에 이른다.

이 같이 눈에 띄는 진출로 인하여 요동지방을 확보했던 고구려의 견제대상이 되고 만다.

거기다 신라까지 백제를 견제하게 되고, 백제는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남방의 왜측과 외교관계를 공고히 다지는 방법을 모색했을 것으로 이해된다.

만약 고구려가 삼국통일의 중심에 있었더라면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변했을까?

한 때 고구려가 차지했던 중국의 땅들이 우리의 영토가 되어 세계속의 대한민국의 모습이 달라졌을까?

가끔 이런 생각을 하며 지나간 역사를 돌이켜 본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단군에 관한 이야기는 아직 명확한게 없다.

단군을 국조나 시조로 보는 이들도 있고, 신격화된 존재라고 받아들일 수 없다는 개신교 쪽의 견해도 있다.

<삼국유사>의 <왕력 王歷>편을 보면 고구려를 세울 동명왕을 두고 '단군의 아들'이라고 표기하고 있다고 한다.

고구려의 건국자를 아들이라고 표현한 것은 단군이 보통명사임을 시사한다고 한다.

단군신화이야기를 통해서 알고 있는 단군에 관한 이야기에 더 관심을 갖고 알아가는 노력을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일본에 속해 있는 대마도는 원래 우리의 영토였다고 한다.

하지만 그 사실을 알고 있는 한국인은 얼마나 될까?

'세종실록지리지'에 독도가 우리땅임을 명확하게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게 명확하게 못밖지 못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는걸까?

우리민족으로써 우리의 지난 역사에 관심을 갖고  제대로 알아야만 세계속의 한국을 심어줄 수 있지 않을까?

우리의 배달민족이 파란만장했던 동아시아 역사의 주체자인 동시에 조정자였음을 잊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