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이 병을 만든다
이반 일리히 지음, 박홍규 옮김 / 미토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20년도 더 된 대학 때의 일이다. 어느 번역본을 교재로 전공수업을 하였는데 배우는 우리들이야 잘 몰랐으니 우리글로 된 책 읽고 배우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어느 정도 수업이 진행되면서 담당교수님은 당황하여 의심스런 눈빛이 짙어졌다. 번역이 잘못되어도 너무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그 전공분야의 내노라고 하는 사람이 번역한 책이라 의심 없이 선택했는데 그게 아니라는 것이었다.

 학기 중간에 교수님께서 원전을 찾아서 일일이 번역본과 대조하여 어떤 부분이 어떻게 틀렸는지 지적하기까지 했다. 학기의 마지막 시간에 그 교수님은 자신의 일은 아니지만 한사람의 교수로서 배우는 우리들에게 부끄럽다고 했다 . 그 번역자의 실력을 의심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틀림없이 학부생이나 대학원생을 통한 번역을 아마 자신의 이름으로 낸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든다고 했다.

나는 '병원이 병원을 만든다'를 보면서 그 때 일이 떠올랐다. 책 페이지 빼곡히 줄을 긋고 문맥에 맞게 고쳐 새로운 번역문을 적었던 일이 이 책에서도 필요한 일이라고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의료분야의 전문적인 용어가 많고 또 많은 주를 달고 내용을 줄이고 문장을 압축한 글이라서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줄을 치고 우리말을 새로 해석해서 읽고 글의 행간을 분석하며 읽었다.

물론 원서에 담긴 이 책의 전체적인 요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책의 결론이 아니라 문장 하나하나에서 왜 그러한 결론이 가능한 지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책읽기 속에서 그런 논리의 전개과정을 얻을 수 없다면 두터운 책의 페이지를 넘겨가며 시간을 들여 독서할 이유가 없다.

'번역은 때로 반역이다'라는 말이 있다. 원서가 난해하면 그 난해한 문장을 곧이 곧대로의 직역이 아니라 의미를 풀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번역자의 몫이다. 번역기를 통한 것같은 축자적 번역으로 지은이가 주고자 하는 직접적인 주장을 번역자가 더욱 헷갈리게 만들어 독자를 고통스럽게 만든다면 아예 번역은 필요없다. 간단한 서평만으로 책의 정보를 전달하고 결론을 받아들이게 하고 차라리 원서를 읽게 유도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책을 소개하는 마음이 앞서 굳이 오역과 완전하지도 못한 번역으로 정말 읽고 싶었던 책으로 독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 필요는 없지 않은가? 그리고 이 책은 벌써 10년도 전에 한번 번역한 책이고 개정판을 다시 낸 것이라고 하지 않은가? 일리히의 명복을 빌며 이 작은 역서를 그의 무덤에 바치는 정도라면  더욱 명확하고 이해 가능한 번역을 해내야 되는 것은 아닌가?

의학적 치료라는 현대적 신화를 멋들어지게 파헤진 일리히의 매력적인 사유 때문에 이 책을 들었는데 지은이의 잘못인지 아니면 번역자의 모자람인지 '병원이 병을 만든다'는 좋은 책을 닥치는대로 읽고사는 나를 무척 불편하게 만들었다. 본문을 힘들게 읽어야 하는 과정 때문에 일리히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그 많고 자세한 주석은 챙겨볼 마음의 여유마저 갖지를 못했다. 귤이 장강을 건너면 탱자로 변한다고 했던가? 그래서 나는 먹기에 부담스러운 탱자가 되어버린 이 책을 어떻게 마져 읽을 것인가를 현재 고민중이다.

번역자가 지닌 이 책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그리고 그의 화려한 학문적 이력에 혹 누를 끼지는 것은 아닌가 생각하지만 이 책의 번역문을 읽고 나와 같은 불평과 고민이 없었다면 누구라도 다른 의견을 평해주시기를 바란다. 떫은 탱자라도 맛있게 먹었던 사람들이 있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