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이 사라지고, 그곳이 살아나고 - 인문지리로 읽는 우리 주변의 공간들
천종호 지음 / 역사비평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연한 기회에 이 책을 읽었다. 겉표지에 광화문 삽화가 예쁘게 들어간 책이었다. 삽화가 위와 아래 둘인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위의 삽화에는 광화문 뒤 조선총독부 건물이 보이고, 아래 삽화는 복원 후 지금 볼 수 있는 광화문이다. 같은 지역이지만 정경은 조금씩 다르다. 정경뿐만 아니라 그곳을 지나쳐간 우리도 예전과 지금 달랐을 것이다. 이 책은 같은 장소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변한다는 것, 그리고 그 장소를 향유하는 우리도 변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4부로 이뤄진 책이다. 1부는 자연, 2부는 역사적 유적지, 3부는 냉전과 산업화에 따른 변화, 4부는 도시가 가져온 지역상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누구든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교양서적 수준의 서술로 각각의 지형 또는 장소의 의미와 변화상을 풀어내고 있다. 책 전반에 걸쳐 우리 국토-지리에 대한 저자의 애정 어린 시선을 느낄 수 있다. 본문에 역사와 지리는 이웃사촌이란 언급이 있는데, 둘 다 근본적으로 대상에 대한 관심과 따뜻한 시선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공감할 수 있었다.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것은 우리 국토와 역사를 대하는 저자의 관점이었다. 1부를 읽으며 저자는 장소-환경의 변화, 특히 근현대 이후 달라진 장소의 성격을 좋다 나쁘다가 아닌 변화의 의미를 찾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기본적으로 긍정적이고 따뜻한 관점이다. 그런데 3부에서 탈산업화 흐름에 따라 서울 서남부의 공단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새로운 경관이 대체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아쉬움을 나타낸 부분은 인상적이었다. 물론 저자가 아쉬워한 것은 탈산업화 자체가 아니다. “산업화 시대에 공장에서 치열하게 일했던 사람들의 땀과 눈물자국, 사연들이다. 책의 부제가 인문지리이듯, 저자는 장소 변화의 의미를 기계적으로 따지는 것이 아니라 그 장소를 둘러싼 우리네 삶의 변화란 맥락에서 지역성을 조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이 각각의 장소를 조명하는 관점에 더 공감할 수 있었던 이유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특히 바쁜 생활에 치였던 독자라면 내 주변을 다시 보고 나아가 우리 국토 어디든 훌쩍 떠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