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직업 우리의 미래 나의 대학 사용법
이범 지음 / 창비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일단, 저자 이범
오~~래전에 강남구청 과학파트 인강을 들었었다. 학교선생님들과는 다른 설명 , 일정한 톤으로 조곤조곤 설명하는데도 전혀 졸리지 않는 말투에 처음으로 과학이라는 학문에 매력을 느꼈었다. .
.
잊고 지내다가 아이를 키우며 이 분이 교육평론가라는 직함을 내걸고 여러곳에서 활동하시는 것을 알게되어 책도 읽고 유튜브에서 강연하시는 것도 보았다. .
이 분은 나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듯 하다. .
이 분의 목소리와 말투를 알기에 이 책을 읽으면서 마치 tv에서 인터뷰 하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은 듯 한 느낌으로 책을 읽었다. .
.
.
.
🌺 왜 유럽은 상대 평가를 하지 않을까
.
🌺 지금 같은 대학 교육이 계속 필요할까
.
🌺 탈학벌의 원인 세 가지
🌺 임금 격차는 왜 생겼을까 .
🌺 비정규직과 미래가 없는 노동 .
🌺 양보를 통해 만드는 혁명 .
—차례들만 봐도 지금 당장 읽고 알아야 할 내용들이 많다. .
.

.
🔖 우리나라 아이들은 초등학교 1학년 때 굉장히 중요한 진실을 하나 깨닫습니다. —정답은 문제집 뒤에 다 나와 있다. .
교육이란 것이 내가 뭔가를 만들어 내는게 아니라 이미 숨겨 놓은 보물 찾기 같아요. .
🔖 도련님, 공주님들은 대개 스펙은 좋습니다. 스펙이라는 것은 인격의 독립성이나 자율적 판단 능력을 보여 주기는 힘들어요. .
🔖양극화는 정치적, 집단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우리가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가장 긴급한 이유가 바로 심각한 양극화로 인해 사회가 피폐해지고 여러분 개개인의 미래도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에요. .
🔖청년 계급이 서로 결속하고 연대하려면 상호 이해의 수준이 높아져야 합니다.
직접적인 교유와 체험도 필요하고 문화, 예술 작품이나 기사, 논픽션등을 통한 간잡적인 경험도 필요합니다
.
🔖성 평등은 ‘제도’만으로 해결되기 어려운 ‘문화’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패러다임의 전환이 병행되어야 한다.
.🔖새 입시를 마련하는 데에는 교육 당국과 교사, 대학 등이 힘을 합쳐야 합니다. . .

🍀🍀
책속에서 저자가 말하는 현상과 해결방안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
깊이 생각하고 내 생각도 정리해봐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