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늘의 계절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민경욱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요코야마 히데오의 D현경을 주제로 한 연작 단편집이다.

인간미 있는 미스터리를 표방하는 작가의 작품은 보는 내내 작가의 인간에 대한 따듯한 마음이 느껴진다.

특히 이 단편 중 '검은 선'은 여경 미즈호 (훗날 '얼굴'의 여주인공)가 처음 등장하여 더욱 반가운 작품이었다.

 

다른 어느 작가보다 다 읽은 후 여운이 남는 작품이 많고 장편 뿐만 아니라 단편들 또한 그 수준이 훌륭한 작가는 요코야마 히데오가 가장 탁월하다고 생각된다.

 

언제 어느 작품을 선택하던 후회가 없는 작가라고 단언한다.

 

아래 내용은 네이버에서 발체한 글이다...

 

 

 

 

경찰 조직은 다른 어떤 조직과도 다른, 완벽한 집단이다. 경찰학교의 문을 나오며 첫울음을 터뜨리는 순간부터 조직과 함께 살며 죽을 때까지 조직과 인연을 끊지 못한다. 퇴직한다고 해도 경찰관이 아니라는 것일 뿐 경찰인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신사협정은 단순한 약속이 아니다. 규정이다. 그 규정을 깨고 조직에 등을 돌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것은 경찰인으로서 오사카베의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그늘의 계절> 중에서

“자네는 경비부 사람들하고 거리가 있을 거야. 위로 통하는 연줄도 없고. 그래서 밀고라는 연극을 통해 내게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고 싶어 한 거지.” 야나기는 자리에서 일어나 신도를 똑바로 응시하며 말했다. “저는 당신을 한 번도 상사로 생각한 적이 없습니다.”--- <땅의 소리> 중에서

그렇게 사는 방법도 있겠지. 경찰 조직은 남자가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폐쇄적인 사회다. 그렇게 사는 게 오히려 편할지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자신의 의사로 경찰관이라는 일을 선택한 게 아닌가. 남자와 경쟁하라고까지는 할 수 없다. 하지만 보잘것없더라도 자긍심을 가지고 내가 있을 곳을 이 조직 안에 만들고 싶다. 그것이야말로 뒤를 이을 여경들의 길이 되고, 또 그래야 조직 내에서 ‘여경 무용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을 막을 수 있다. --- <검은 선> 중에서

“서른을 넘기면 더 이상 친구는 만들지 못해. 일하는 파트너야 생기게 마련이고, 그러다보면 신뢰할 수 있는 놈들도 있지만 역시 친구는 아니지. 서로 유치하고 꼴사나운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니까. 결국 이십대까지야. 그때까지 만난 놈들이 친구야.” --- <가방>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