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레이션 -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스티븐 로젠바움 지음, 이시은 옮김, 임헌수 감수 / 이코노믹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비해 유입되는 정보의 양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났다. 문제는 정보의 양에 비례해서 사고의 깊이나 정보의 질이 높아진 것은 아니란 사실이다. 내가 접하는 모든 정보가 좋은 정보가 아닐 수도 있다는 반증이자 꼭 필요한 정보가 아니라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그만큼 하루에도 엄청난 양의 정보들이 미디어와 인터넷, 책을 통해 전달되지만 그것들을 다 먹다보면 소화불량이 일어난다. 그래서 양질의 꼭 필요한 정보들을 선별해서 소화하고 내 것으로 만드는 작업이야 말로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능력이자 덕목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책 제목 큐레이션은 다른 사람이 만들어낸 콘텐츠를 목적에 따라 가치 있게 구성하여 배포하는 일을 뜻한다. 다시 말해 이미 있는 정보들을 잘 선별하고 취합하여 주제와 목적에 따라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일이다. 위에 말했던 것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능력이라 생각하며 이 책은 무척 시의적절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저자인 스티븐 로젠바움은 온라인 최대 동영상 큐레이션 플랫폼인 매그니파이넷의 창립자이자 CEOMTV의 획기적인 사용자 제작 콘텐츠 프로그램 <MTV 언필터드>를 만들면서 이름을 날리기 시작, 그때부터 자신을 콘텐츠 큐레이터라 부르며 자신의 성공적인 전략을 전파했다. 저자의 이력과 활동을 보며 역시 앞서나가는 사람은 시대를 읽는 눈이 탁월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책의 목차를 살펴보면 큐레이션에 대한 소개와 함께 기존의 박물관에서만 쓰여지던 큐레이션 개념이 이제는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리더스 다이제스트, 허핑턴 포스트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매체들이 탄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기업들도 큐레이션을 도입하여 고객과 소통하며 새롭게 도약하는 사례들을 보여준다. 또한 앞으로 큐레이션의 미래와 성공에 대해 전망하는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내가 중점적으로 본 부분은 3장 큐레이션의 미래와 성공이다. 저자는 큐레이션이 브랜드의 가치와 생존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말하며 홀푸드를 예로든다. 홀푸드는 천연 유기농 상품을 취급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의 원칙 중 하나는 전체의 철학인데 이는 큐레이터로서 취급할 상품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이 선택 기준을 고객과 공유한다.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홀푸드는 식품이 가장 순수한 상태, 즉 인공 첨가물, 감미료 색소, 방부제 등이 섞이지 않은 상태에서 가장 맛도 좋고 영양가도 풍부하다고 믿기 때문에 천연 유기농 제품만을 취급한다. 홀푸드는 구매 담당자의 신중한 판단을 통해 항상 높은 품질을 구한다.’ 사실 이 부분에서 머리가 번쩍했다. 사람들은 이제 나대신 지식뿐만 아니라 영양을 책임져줄 사람을 필요로 한다. 기업이 그 큐레이터를 고용하여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해준다면 얼마나 만족하고 과일을 구매할 수 있겠는가. 책을 읽다보니 여러 아이디어가 마구 떠올랐다. 책을 한 번 더 꼼꼼히 읽고 사업에 접목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봐야겠다는 다짐을 하며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