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에서 온 편지
최인호 지음, 양현모 사진 / 누보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얼마전 사미자씨와 김형자씨가 나오는 아침 방송을 본 적이 있다. 벌써 새하얀 할머니가 되었지만, 어머니 얘기를 꺼내자 눈시울부터 붉히던 사람들. 밥을 먹을 때, 어머니가 이렇게 해주면 참 맛있게 먹었는데하고 매일 매일 한시도 빠짐없이 어머니 생각을 하셨다고 한다. 어머니는 그런 존재다. 막상 살아계실 때는 무엇이 그리 투정할 것이 많았는지 온갖 투정을 부리며 엄마을 혼자 누리더니 돌아가신 후에야 눈물 뚝뚝 흘리며 후회하게 하는 존재. 어머니, 하고 불러보면 가슴 언저리에 그 뜨끈한 울음이 벅차오르는 존재말이다.

 

소설가 최인호씨도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 매일을 그리워하며, 추억하며, 후회하며 나날을 보낸 것 같다. 자신이 커피 한잔 마시던 그 짧은 새에 돌아가시는 어머니가 눈물로 스며나오고 열병을 앓는 아이처럼 통곡하던 그. 자식이라면 다들 그 마음을 알 것 같다. 책에서 자꾸 나오는 어머니에게 하는 독백은 이 책에서 가장 여운을 주는 소재이다. 다시금 불러보는 어머니, 대답이 없으시니 자꾸 부르는 자식의 목소리에 어머니는 얼마나 가슴이 아프실까. 아니, 하늘에서 내려다보시며 인자하신 미소로 바라보고 계실까.

 

독실한 신자셨던 어머니의 기도를 같이 해드리며 어머니의 마음을 깨닫는 과정은 자식으로써 효도가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해본다. 부모님께 물질적으로 집이나, 차, 용돈 등을 해드리면 그것이 효도라고 생각하기가 쉬운데 같이 기도를 해드리는 것만 해도 크나큰 효도가 된다는 것에서 약간 충격이 일었다. 지금까지 믿고 있던 것이 무너지는 느낌이랄까. 매일 효도한다고 말로만 하지만 효도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이 있어드리며 좋아하시는 것을 같이 해드리는 것. 그것이 진정한 효도였다. 그런 의미로써 나는 효녀일까 불효녀일까.

 

 세상 모든 어머니의 인생에서는 자식이 주인공이라는 말을 읽은 적이 있다. 자식이 주인공이었고, 유일한 배우였던 어머니의 인생. 과연 자식의 인생에서는 어떤 급일까, 엑스트라보다 못한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 깨달았다. 어머니는 내 인생의 첫 주인공이자 마지막 조연이었노라고. 그것도 아주 중요한 감초역할을 하시는 조연.

 

나는 딸이기 때문에 저자와 다른 느낌과 다른 생각으로 읽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남자, 여자 할 것 없이 어머니라는 단어 하나가 평생 뇌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누구나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산다는 것이다. 그리운 어머니, 그 향수를 달래주는 천국에서 온 편지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담바이러스 2010-06-08 1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리뷰 잘 봤습니다^^

천사맘 2010-06-08 21:15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맨발의 꿈 맨발의 여행자 - 낯선 이름의 여행지 동티모르의 조금은 쓸쓸하고 조금은 달콤한 이야기
박성원 지음, 정일호 사진 / 21세기북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낯선 땅 동티모르. 1975년 포르투갈에서 독립하나 곧바로 인도네시아의 식민지가 되어 1999년까지 독립을 하기위해 20만명이 사망했다.

1999년 인도네시아의 독재가 무너진 후 국제 연합이 실시한 국민 투표에서 80퍼센트가 넘는 동티모르 인들이 독립을 지지하자 인도네시아 당국이 보복으로 학살을 자행한다. 나라가 황폐화되고 결국 동티모르 인들은 값진 독립을 얻었다.

 

인구 총 77만명, 평균 수명 49.5세, 국내 총생산 528달러. 초라해보이는 숫자들. 동티모르의 현실.

솔직히 이번에 개봉하는 맨발의 꿈이 아니었으면 동티모르라는 나라는 내 기억에 없었을 것이다.

지도를 찾아봐도 인도네시아라고 표시되어 있는 나라 동티모르. 일제 강점기 시절 우리나라를 보는 듯한 묘한 데자뷰는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수많은 죽음으로 황폐화된 나라 동티모르는 도데체 어떤 나라일까. 겁없는 아줌마 박성원씨가 보여준 동티모르는 내 예상을 보기 좋게 빗나갔다.

열악하지만 아담한 시설들, 인심좋은 사람들, 해맑은 아이들의 미소. 그 어디하나 전쟁의 폐해의 흔적은 없었다. 다만 로스팔로스에서 살던 인도네시아 인들이 떠나 텅빈 마을뿐. 초원도 있고, 가난하지만 웃으며 사는 나라. 행복이라는 것이 그리 멀리 있지 않음을 알려주는 나라.

우연의 일치인지 사진의 사람들은 모두 환하게 웃고 있다. 새하얀 이를 드러내며 아주 행복한 미소로.

 

지도 한 장 없이 홀홀 단신으로 여행하며 동티모르를 알려준 작가에게 감사할 따름이다. 아름다운 나라였고, 정다운 사람들이 있어 순수한 나라로 기억된 동티모르. 아직 용기도 없고 기회도 없어 가지 못하는 나라겠지만 언젠가는 가보리라는 꿈을 심어주었다. 언젠가 나도 빨게진 입술 사이로 나란한 치열을 드러내며 웃는 그 사람들을 만나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톡, 까놓는 씨앗 이야기 지식세포 시리즈 1
꿈비행 글.그림 / 반디출판사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산 교육! 씨앗 이야기를 통해 과학은 물론 사회, 역사까지 알다!

알먹고 꿩먹고, 도랑치고 가재 잡고, 마당쓸고 돈도 줍고, 책읽고 공부도 되고!!
우리들을 먹여주는 고마운 쌀, 가난했던 시절을 도와주었던 보리, 전쟁에서 이기게 해준 밭의 보배 콩, 이 시대를 이끌어 가는 밀, 마야를 세웠던 옥수수, 가난한 농민들을 먹였던 감자, 배고픈 동양인의 고구마, 일본인의 비밀병기 고추, 황금보다 귀한 후추, 피라미드를 세운 마늘, 알렉산더 대왕의 사랑스러운 사탕수수, 세계인의 애호품 커피, 수능생의 특별한 친구 카카오, 남북전쟁의 불씨 담배, 세계인도 애지중지한 인삼, 모든 이들의 따뜻한 날들을 위한 목화까지 귀하디 귀한 씨앗 이야기의 완결판! 

 

 새싹들이 빼꼼 하고 고개를 내미는 화창한 봄날, 개구진 웃음처럼 환한 햇빛을 닮은 책이 왔다.
톡 까놓는 씨앗 이야기. 콧물 질질 흘리는 땅땅콩 요원의 보고서를 읽으며 나도 모르게 씨앗들의 사생활에 푹 빠지게 되었다. 우리들이 먹는 쌀에서 사탕수수, 목화, 콩까지! 일상 생활에 가까이 있었지만 제대로 알 수 없었던 이야기를 땅땅콩이 들려준다.

 

 감자 때문에 전쟁에서 진 이야기를 아는가? 옥수수를 숭배하는 콘헤드들을 아는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된 씨앗들의 '사생활'은 정말 기상천외하다. 인간이 옥수수 가루로 만들어졌다는 마야의 전설에서 나온 콘헤드. 콘헤드란 아마겟돈에만 나오는 머리인줄만 알았는데 이리도 심오한 뜻이 있었다니! 콘헤드를 만들기 위해 갓난 아이의 머리를 판자로 눌렀다는 이야기와 그건 왕족의 머리였다는 이야기는 가히 경악할 만하다.

 

 얼마전이었던가, 한국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쌀이 발견되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다. 소로리였던가. 소로리 볍씨는 무려 1만 5천년 전에 자란 씨앗이라고 한다. 빙하기가 끝날 무렵 그 추운 날씨 속에서도 꾿꾿하게 자라나 지금까지 우리들의 주식으로 자리잡고 있는 쌀이니 기특하고 신기했다. 이처럼 씨앗 이야기를 나열하자면 무궁무진할 이야기를 이 책에서는 기특하게도 전면 컬러로 하나하나 소중하게 담아냈다.

 

 간간히 나오는 퀴즈와 역사적 사실들, 그리고 상식들은 위트가 넘쳐 아이들이 중도에 질리지 않고 읽을 수 있다. 또 교과서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이 많아 아이들이 공부를 하거나 숙제를 할 때에도 많이 유용하게 쓸 수 있어보였다. 더군다나 마지막에 나오는 씨앗 속담의 과학적 풀이와 한국, 세계 연대표는 교육적인 책임을 증명하기에 충분하다.   

 

 아이에게 매일 한가지 씨앗씩 읽어주고 농장에 가서 직접 보여주며 설명해주니 아이도 나도 머릿속에 쏙쏙  들어왔다. 무심코 먹기만하고 알려하지 않았던 씨앗 이야기를 속 시원하게 알려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