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하고 싶은 일본소설 베스트는?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1
미우라 시온 지음, 윤성원 옮김 / 북폴리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은 재생하는 것
 
 
 
나오키상 수상작가인 미우라 시온의 작품 '바람이 강하게 불고있다' 는 마치 그림을 없애고 활자만으로 가득한 슬램덩크를 보는 것 같은 재미와 감동을 안겨주었다. 
책표지부터 상당히 마음에 들었는데, 내용을 알게 되면 알게 될 수록 그 매력이 더해져갔다.
보통은 주인공 외의 등장인물들은 좀 힘이 빠져 비중이 낮아지기 마련인데, 이 소설속의 지쿠세이소에 사는 10명의 간세대학 학생들은 각기 자신들만의 캐릭터와 삶의 이유를 갖고 있는듯 보였다. 유머가 넘치고, 따뜻한 감정이 솟아난다.
청춘소설, 성장소설...어떻게 불리든간에, 이 소설이 너무 너무 즐겁다는 사실이 더욱 중요하다.
 
달리기라는 테마를 가지고, 뛰고 싶어도 뛸 수 없는자와 달리기를 위해 태어난것 같은 몸을 가진자가 있고...나머지 여덟명이 자신의 인생과는 상관없어 보이던 달리기를 거절할 수 없는 계기에 의해 갑작스럽게 시작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가 이 책의 스토리를 이룬다.
바닥에 구멍이 뚫리는가 하면, 언제라도 천장에서 윗층이 무너져 내릴것만 같은 낡은 지쿠세이소에 살고있는 간세 대학 10명의 달리기 용사들이 하코네 역전경주를 목표로 인생의 빛나는 한 시절을 채워가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펼쳐진다.

 
작가는 어느 인터뷰에서 행복은 재생하는 것이라며, ' 꿈이 이루어 진다는 것은 반드시 당초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만은 아니다' 라고 표현하였다.
이 책에서 달리고 싶으나 달릴 수 없는 자인 기요세 하이지는 하코네 역전경주에 참가 할 수 있는 최소인원인 10명이 모이기를 대학4학년생이 될때까지 기다려 왔다. 지쿠세이소는 아홉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건물인데, 정상적으로 한 방에 한명이라고 생각했을때 하이지의 바램은 이루어 지기 힘든 것이었다. 그러나 조지, 조타 쌍둥이가 한 방에 입주하게 되고, 마지막 빈방을 가케루라는 걸출한 달리기 천재가 채우게 되면서 마침내 하코네 역전경주에의 하이지의 염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러 사람이 한 가지 꿈을 향해 같이 달려가는 모습은 언제라도 참 아름답다.
그것을 이룬다고 해도 대단한 명예가 생기는 것도 아니며, 재물이 생기는 것도 아니다. 단지, 그러고 싶으니까, 즐거우니까 하게되는 순수한 행위다.
지쿠세이소 주민으로 이루어진 개성 가득한 열명의 학생들이 처음부터 달리기를 좋아한 것은 아니다. 마지못해 시작한 이도 있고, 여자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 이도 있었다. 그리고 다른 이웃들이 금방 포기하지 않을까 생각하여 적당히 분위기만 맞춰주려는 생각을 품은 이 역시 있었다. 그
러나 같이 달리기 시작하면서 몸으로 마음으로 느끼게 되는, 달리는 자만의 감각이 그들을 더 높은, 더 넓은 곳으로 이끌어 간다. 그리고 달리는 것으로 자신을 증명하고 싶고, 내년에도 꼭 하코네 경주에 참가하고 싶다는 마음이 전체로 퍼져 나간다.
달리기는 더 이상 강권으로 시작한 엉뚱한 일이 아니라, 달린다라는 행위에서 오는 오로지 자신밖에 없는 공간 속에서의 자아와의 만남이고 또 서로 신뢰하는 사람들과 함께 뛰는 극한의 신체적 괴로움이자 영혼의 즐거움이다. 달리고 있는 동안 그들 모두는 성장하고 있다.
 
슬램덩크에서 강백호가 '정말 좋아합니다, 이번엔 정말이라구요...' 라고 고백하는 감동적인 장면처럼, 지쿠세이소 주민들 역시 온 힘을 다한 달리기로 하코네 역전 경주에 임한다.
10개의 구간을 이틀에 나누어서 달리게 되는 달리기 코스에서 조금이라도 빨리 다음 구간의 멤버에게 어깨끈을 넘겨줄 수 있도록, 모두의 꿈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간세대학팀은 눈물겨운 경주를 이어간다.
심한 감기로 고열에 휘청이는 신동도 자신과 지쿠세이소 주민의 꿈을 위해 달리고, 달리기가 너무 좋아 달리는 것밖에 모르던 청년 가케루도 자신을 성장시키는 달리기를 하며, 이제는 더이상 달릴 수 없을 지도 모르는 하이지도 자신만의 달리기를 완주한다.
쓰러져도 상관없다. 끝까지 달리고야 만다라는 각오로 이어지는 꿈의 달리기.
진지하고 아름다운 이 즐거운 달리기를 막을 수 있는것은 아무것도 없다.
 
"얼굴들어. 넌 잘 뛰었다고. 아무리 죽을힘을 다해도 이르지 못할 때가 있다. 하지만 그래서 좋은 게 아니겠냐?"
청춘이 아름다운건 이렇게 말 할 수 있는 젊은 마음이 있어서 인지도 모르겠다. 모든일이 뜻대로 이루어졌을 때만 웃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이 있고, 미래가 있고, 그것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 알 수 없기에 더 기대할 수 있다.
지금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고개를 들어야 한다. 그리고 다시 앞으로 힘차게 나아가는 거다.
 
이 책에서 아름답고 완벽한 달리기의 표본을 보여주는 가케루.
알랭 드 보통의 '동물원에 가기' 에 보면, ' 무엇을 먹고 마실지를 생각하기 보다는 누구와 먹고 마실 것인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친구 없이 식사하는 것은 사자나 늑대의 삶이기 때문이다 (에피쿠로스) '라는 말이 나온다.
배 고프면 훔치고, 화가 나면 두들겨 패버리던 언제나 혼자이던 가케루가 지쿠세이소 주민들 속에 어우러져 서로 진실한 신뢰를 쌓는 모습에서, 나는 가케루라는 사자가 더이상 외롭지 않은 인간으로 변해가는 것을 보았다.
자신 안의 잃어버린 것을 찾기도 하고, 몰랐던 것을 깨닫기도 하며, 상대를 통해 자신이 바라던 모습을 보게 되기도 하는...서로가 서로를 지탱해주고 인정해주는 아름다웠던 달리기는 모두에게 잊을 수 없는 환희와 감동을 남기고 그들의 인생을 지나간다.
 
행복은 재생된다는 것......그것을 자신의 인생을 걸고 보여준 하이지를 비롯, 지쿠세이소 주민들과의 행복한 만남이었다.
그들의 달리기를 지켜보는 것은 참 아름다웠고, 빛났고, 즐거웠다. 그리고 가슴이 무척 설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