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가해자들에게 - 학교 폭력의 기억을 안고 어른이 된 그들과의 인터뷰
씨리얼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왕 태어난 이상 다양한 경험을 해 보는 게 권장되지만, 세상에는 겪지 말아야 할 경험들이 분명 있다.

감수성이 가장 예민한 사춘기 학창 시절, '왕따' 학교폭력을 당했던 이들의 직접 경험을 영상으로 담았던 <왕따였던 어른들> 시리즈는 매 편당 10여 분 내외인데, 영상으로 분명 더 길게 편집할 수도 있었겠으나 요즘 동영상을 대하는 인내심이 점차 짧아지는 추세를 반영해서인지 그 정도 분량으로 유튜브에 올려져 있다.

이 프로젝트는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거기에 담지 못한 많은 이야기들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만들었다.

 

어른이 되었으나 이들의 회고는 '피눈물' 그 자체다.

이런 자리에 나와서 얼굴을 드러내고 동영상을 찍으면서 본인의 경험을 공유한다는 용기 자체가 과거 트라우마에서 어느 정도 치유가 된 증거로 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아직도 마음속에 깊은 우물이 있다.

심지어는 학교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집에 와선 가정 폭력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으니 눈뜨고 있는 매시간 이런 상황 속에서 어떻게 온 정신으로 살 수 있었을까!

사실 학교 폭력이 청소년 피해자 입장에서 적절히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 교실의 테두리 안에서는 부모나 선생님 그 누구도 큰 도움이 되기 힘들다. 그들과의 대화는 짧고 교실 생활은 길다.

반드시 이런 극악한 학창시절을 겪지 않았다 하더라도, 회사 내에서도 생기는 교묘한 '은따' 분위기를 느껴본 사람이라면 공감할 부분이 분명 있다.

 

이들이 가장 울분을 토하는 지점은 본인들은 이렇게 어른이 되어서도 그 시절 아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아직도 고통받고 있는데, 가해자들은 보란 듯 잘 먹고 잘 산다는 현실이다.

좋은 학교에 진학하기도 하고 SNS를 통해 늘 밝은 모습을 자랑하기 바쁘고, 청소년 상담을 하기도 하고.

같은 상황을 바라보는 온도 차이가 이들을 다시 한번 좌절하게 만든다.

'그게 뭐 대수라고...', '장난이었잖아', '당시 난 어쩔 수 없었어. 너도 알잖아', '난 잘 기억 안 나는데... 그랬나?', '나는 아니었지?'

"많은 정신과 의사들이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나의 아픔을 누군가에게 고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P 13)

여기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당시 기나긴 어둠의 터널을 극복하는데 단 한 명의 친구가 매우 소중했다고.' 아니면 '한 명이라도 내 이야기를 들어주고 손을 내밀어 준 이가 있었다면...'

신앙이 없어도 사람은 어느 때건 고해성사가 필요하다.

그걸 들어줄 가족, 선생님, 친구, 동네 언니 그 누군가의 소중함이 새삼 중요하게 느껴진다.

 

이런 주제를 학술적으로 다룬 논문들과 다르게, 피해자들의 생생한 증언이 모아진 <나의 가해자들에게>는 비슷한 처지의 많은 이들에게 하나의 나침반이 될 수도 있고, 향후 출판계에서도 보다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소재다. 여기에 관련된 동영상, 책자는 앞으로 더욱 많이 필요하고 이러한 노력이 모여진다면 분명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 본다.

 

이름이 알려진 몇몇 연예인들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인생의 부메랑 법칙"을 굳게 믿는 편이다.

뭐냐면 내가 누군가의 눈에서 피눈물을 흘리게 만들고 가슴에 멍을 들게 했다면 나 역시 언젠가는 그런 대가를 치른다는 말이다.

현재 잘 먹고 잘 산다고? 내세가 있잖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