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집단 vs 대규모 집단.
* 구성원들이 다양할수록 위험, 위협, 리스크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조직들의 설립이 용이함. 즉 살아남을 확률이 더욱 증가함. Cf) 인재 풀의 중요성.
- 충분한 인구 수의 중요성.
+) 충분한 언어 사용자 수의 중요성.
Cf) 규모의 경제 & 범위의 경제.
* 다양성(Diversity)의 중요성.
cf) 포트폴리오 이론.
* 유전적 다양성
- 유성생식은 유전적 다양성 확보로 생존확률을 높임.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면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 확률이 높음.
-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면 환경 변화에, 특히 급격한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게 됨.
 | 집단지성의 이해
권찬호 지음 / 박영사 / 2018년 8월
19,000원 → 19,000원(0%할인) / 마일리지 570원(3% 적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