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놀이
크리스토프 하인 지음, 박종대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놀이처럼 즐기며 인생을 산다는 것은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이 꿈꾸는 일이 아닐까?

 

아마도 이것은 놀이라는 단어가 가져다 주는 여유로움,

그리고 스릴과 재미가 지루한 일상을 버티어 나갈 수 있는 에너지가 되어 주기 때문일 것이다.

 

한 남자가 감옥에 갇혀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그의 죄목은 살인. 그리고 그는 자신이 저지른 살인을 단지 어쩔 수 없었던 정당 방위(?)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변호사에게 편지를 쓴다. 글쎄,, 그의 말을 듣고 있다 보니, 어느 샌가 문득 그의 논리에 설득당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고 당황하곤 했는데,, 살인이라는 중죄를 범하고도 너무나 뻔뻔하고 당당하게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는 남자. 그의 삶을 반추해 보면서, 사람이 자라난 환경에 따라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 그것만으로 모든 것이 덮일 수 있는 것인지,, 어떻게 보면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며, 다른 사람의 고통에는 아랑곳 하지 않고 오로지 놀이로 대표되는 자신의 즐거움만을 탐닉하는 것은 그의 잘못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또 그렇게만 생각하기에는 그의 죄가 너무나 크지 않은가,, 자기 자신만이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서 빚어지는 모든 일들에서는 오로지 혼자만을 위한 일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었기 때문에,, 그에 대해서 이렇다 저렇다 딱 잘라 말하는 것이 어렵다는 생각이 가득하다. 요즘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싸이코 패스류의 범죄들도 이와 같은 맥락이 아닐런지,, 과연 정신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의 범죄 행위는,, 어떻게 다루어야 옳은 결정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이것은 비단 범죄에서뿐만이 아니라,, 혼자 있는 방 안을 나서면서부터 생기는 모든 일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편지 형식의 글이라는 점도 독특했지만, 범인이 자신의 범죄에 대해서 스스로 모든 것을 말한다는 설정,, 살인이라는 범죄를 다루고 있지만, 잔인함이나 혈흔이 낭자한 끔찍함보다는 심리묘사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더 긴박감을 느낄 수 있었다. 거기에 더하여  또 하나의 반전이 마지막까지 읽는 즐거움을 주는 듯하다.

 

인생을 놀이처럼 즐긴다는 것은,,

누구나 꿈꾸는 즐거운 삶이 되겠지만,,

누구나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현실에서는 이루기 어렵다는,,

그만큼 비현실적인 일이라는 것은 아닐까?

항상 놀이처럼 살 수는 없지만,,

그리고 늘 즐길 수 있는 놀이보다는,,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가끔씩 찾아오는 한 번의 놀이의 기쁨이 더 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