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에서 백수로 살기 - ‘청년 연암’에게 배우는 잉여 시대를 사는 법
고미숙 지음 / 프런티어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인문학자 고미숙이 '백수'를 자신이 가장 잘 다루는 연암과 엮어 풀어냈다. 

소위 금수저에 해당하는 연암은 백수를 자처하면서도 어떻게 즐겁게 살았을까,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본다. 


백수는 일하는 자를 부러워하고, 일하는 자는 백수를 부러워한다. 

특히 백수는 소속감이 없기 때문에 자기 비하는 물론 자존감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자연스레 자꾸 움츠러들어 나도 모르게 생활 공간, 활동 범위가 좁아든다. 


이 책에서는 '백수'를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본다. 극과 극은 통한다고 생각만 다르게 한다면 백수는 자신의 능력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무궁무진한 존재인 것이다. 


"백수는 취준생의 연장이거나 루저가 아니다. 다시 말하지만, '21세기가 간절히 바라는' 새로운 존재 방식이다. 

-p.101


연암의 발자취를 따라가면, 그가 비주류라는 느낌보다는 완벽한 인물이 따로없다. 

조선시대에 사대부가 직접 밥을 짓고, 고추장까지 만들어 먹는다. 게다가 부인과 누이 사랑도 지극한데다 사별 후 재혼을 하거나 첩도 들이지 않는다.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렸고, 술을 먹되 정도를 지켰다.(놀라운 절제력까지!!)


백수가 되면 자의든 타의든 스스로를 자꾸 가두게 되는데, 연암은 오히려 자신의 자유로운 상황을 이용해 다양한 사람과 교류하고, 여행을 다녔으며, 독립적으로 행동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두 가지 생각이 상충하게 된다. 

발생의 전환으로 백수란 상황을 즐기고, 활용하며,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과 함께 내적 동기(뭐라도 시도해봐야겠다, 당장 골방을 탈출해야겠다 등)도 꿈틀거린다. 

 

저자는 계속 말한다. 

4차산업혁명으로 소수에게만 허용되었던 정신활동을 이제는 누구나 매진할 수 있다고. 

미래에는 노동에서 벗어나 누구나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그런데 노동은 얼마간의 숙련 기간을 거치면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정신활동도 누구나 할 수 있을까?

오히려 개인의 역량에 따라 개인 차도 많이 나고, 소외되는 사람도 많지 않을까?

그리고 그것을 개인의 문제로 돌릴 수 있지 않을까?


저자가 백수에게 하는 조언은 새롭지는 않지만, 동기 부여는 확실히 주긴 준다.  

다만, 책이 뿜뿜뿜~ 뿜어내는 긍적, 낙천, 핑크빛, 하면 된다, 넘치는 캐발랄 기운이 부담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