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장군은 나에게 동의했지만, 우리가 한국에서 안정적 힘을 갖기 위하여 이승만이 필요하다는 망상에 사로잡혀 있었던 도쿄, 특히 연합군 최고 사령부로 인해서 다른 결정을 할 수 있는 힘이 부족했다.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제로 어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수가올라가다가 속도가 줄어들어 50세경에 안정화된다. 어휘는 유동적지능과 대비되는 이른바 결정화된 지능의 지표다. 과학자들에 따르면유동적 지능fluid inteligence은 우리의 순수한 문제 해결 능력 그리고 새로은 상황에서 민첩하게 행동하고 생각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 개념은인지조절과 아주 밀접하다. 반면에 결정화된 지능 crystalized inteligence은저장된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 어휘처럼 결정화된 지능에 대한 검사 결과는 나이가 듦에 따라 안정화되거나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 P4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종의 실패와 좌절에 대한 국민적 동정, 그리고 마지막 운명을 둘러싼 의문이 증폭되면서 오히려 전국인의 민족적 감정 앙양과 발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점은 ‘사후 발휘된 고종의 리더십‘으로 해석해 볼 수있다. 즉 고종의 생전 리더십은 처절한 실패였지만, 오히려 그런 실패와 좌절이 국민들의 동정을 불러일으켜 독립만세운동 당시 중요한 폭발력을 가져온 원인이 되었다. 이 점은 역설적으로 실패의 리더십‘ 이라고도 하겠다.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한다(Hazmedar, 1997), 또다른 사례를 보면 독일어에는 VO 어순(동사 목적과 어순(목적어 - 동사)이 모두 사용되는데, 독일어-영어 이중 언어 습득아동들은 독일어 하나만 배우는 아이들과 달리 VO 어순을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Dopke, 2000), 이것은 VO어순만을 사용하는 영어의 영향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중 언어 습득에서 어느 한 언어를 지배적으로 사용하면 그 언어의 문법 요소가 다른 언어에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
어순을 혼동하는 것은 이중 언어 습득 아동들이 두 언어의 서로 다른 문법을 배우는 과정에서 흔히 거치는 단계이다. 제시가 생후 2년 11개월쯤 "Sarah my bed touch."라는 말을 했는데, 이것은 ‘사라 (언니)가 내 침대를 만졌어요.‘의 한국어의 SOV어순(주어-목적어 동사)을 그대로 영어에 적용한 결과이다. 영어의 SVO 어순(주어-동사 목적어)에 따르면 "Sarahtouched my bed."가 문법에 맞는 표현이다. 이중 언어 습득 아동이 이렇게 두 문법이 혼동되는 시기를 거치기는 하지만, 아이들은 점차 언어 발달이 진행되면서 두 언어의 다른 문법 체계를 정확히 구분해 터득해 나간다.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현대 한국 쌀의 사회사 한국의 과학과 문명 10
김태호 지음 / 들녘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핵심 연구가 통일벼였기에 통일벼 부분이 강렬하게 인상을 주었다 통일벼의 탄생과 몰락은 우리나라의 70년대 개발독재 시절 정부 주도의 농촌정책의 명암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신품종 탄생과 생산량 증대까지는 좋았으나 여타 권위주의 국가들의 정책 한계와 똑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