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사이더 범우사상신서 19
콜린 윌슨 지음 / 범우사 / 1997년 7월
평점 :
품절


지인 중의 한 명이 내게 와서 괴롭다고 그런다. 아무리 무시하려 애를 써봐도 '너무 많이, 그리고 너무 깊게' 보인단다. 서먹한 사람조차 멀거니 바라보자면 어느새 그 사람의 과거가, 현재가 그리고 미래가 마치 영화처럼, 비가 죽죽 내리는 가운데 가끔씩 끊기기도 하는 그런 오래된 무성영화처럼, 환하게 그의 눈앞을 지나가더란다. 그저 눈이 아플 정도로 보인단다. 왜 그리도 모든 영화의 결말들이 지루하리만치 똑같을 수 있는지. 그래서 그는 뭍사람과의 접촉일랑 되도록 피하려 한다(그는 매우 예절바른 사람이다).

비단 그 뿐이랴? 정작 괴로움은 바로 자신이란다. 자신을 담은 필름이 하도 초라하고 비참해서 죽을 힘을 다해 다시 만들어보려 하지만, 완강한 줄거리는 요지부동! 언제나 다를것 없는 화면에 같은 결말 뿐이란다. 뭐 그리 추하거나 낯뜨거운 것도 아닌 걸, 이류영화쯤이면 괜찮다, 괜찮다....하며 수도 없이 '눈 가리고 아웅'도 해 보지만, 어쩌랴 고작 잔꾀쯤으로 인생을 땜질 하기엔 자신의 존재가 한심하지 않은가?(그는 심하게 성실한 사람이다)

그런 그에게 위안(위안? 그 사람처럼 삶에 정직한 인물에게 위안이란 퍽 드문 경험이다)이 되는 책이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이다. 그는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자신이 그리 특별하지도, 야단스럽지도, 또 끔찍하도록 파멸적이지도 못하다는 것을 깨닫고 안심 반, 부끄러움 반, 했단다.

특이하긴 하지만 아웃사이더는 아닌 콜린 윌슨이 정의하는 아웃사이더란, '꿈과 같이 비현실적인 세상에서 깨어나 혼돈을 똑바로 본 인간'이다. 그들은 '병들어 있다는 것을 깨닫지도 못하고 있는 문명 속에서 자신이 병자인 것을 직시'하고 인간이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알아채면서 고민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아웃사이더가 된다. 아웃사이더에게 자기가 태어난 세계는 무가치하며, 아무런 목적과 의식없이 그저 표류하는 곳으로 보인다.

사르트르가 고생하는 구토증, 앙리 바르뷔스의 퇴폐적 신경증, 까뮈의 무관심과 '전락'의 감정, 헤세의 자기 분열, 드 리슬 아담의 '악셀'적 태도, 웰즈의 허무감, 니진스키의 파멸적인 긴장감등은 모두가 부조리한 현세를 부정하는 실존적 태도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엄밀하게 말해 인간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은 부르조와적 절충물임을 통감할때, 진정한 질서가 오기 전에 혼돈으로 내려가야 함'은 불가피하며, 그 '출구도 없고 회로도 없으며 뚫고 나갈 길도 없는' 막막한 세계에서 그들은 눈물겹게 탈출하려 애쓸 뿐이다.

그 탈출시도는 고호의 그림, 사르트르의 실존철학, 니체의 초인사상과 영겁회귀, 블레이크의 시와 그림, 도스또예프스키의 '삐딱'한 인물들, 라마크리시나의 신비주의, 쇼의 희곡등에 면밀히 나타나는데, 각 개인이 절감하는 소외, 불안, 긴장, 공허, 절망의 몸짓이 사뭇 잔인하도록 가슴을 찌른다.

분명한 제각기의 목표의식을 갖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생을 방황과 의심, 갈등, 고립감속에 꽁꽁 갇혀 더 나아가지 못한 채 발광이나 육체적 혹은 정신적 자살을 택할수 밖에 없었던 그들의 실패요인마저 조목조목 분석해가는 윌슨의 주눅들이만치 탁월한 비교비평 방식은, 가히 엄청난 충격이었다. 변변히 내세울 까닭도 없이 점점 제 삶에서 소외되어 간다고 비통해하는 사람이라면 하루 바삐 윌슨을 만나는 것이 좋을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