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3
최명희 지음 / 한길사 / 199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무더운 여름..찌는듯한 더위속에서 방안에 쳐박히어 <혼불>을3일만에 정독을 했었다. 문체의 아름다움과 최명희 선생의 역사적 안목에 깊은 감명을 받았었다. 왜 혼불을 쓰고나서 최명희 선생이 유명을 달리하셨는지 조금은 알수 있을것 같기도 했다. 혼불에서는 최명희 선생의 한줄, 한줄의 절망이 느껴졌다. 그리고 그 절망을 뛰어넘은 최명희 선생의 모습이 내게 투사되었다. 이것을 읽기 전에 이문열의 '변경'을 읽었었는데, 이문열의 변경과 비교하면서 읽는 재미는 정말로 솔솔했다.

이문열의 문체가 독선적이고 딱딱하다면은 최명희의 문체는 부드럽고 포용적이었다. 이문열의 변경론과 최명희의 혼불론. 대하소설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 장편의 분량을 뛰어넘은게 대하소설이라는 기준하에...막연히 대하소설이구나 하고 읽었었다.이 소설의 중요한 작품줄기를 잠시 설명하고자 한다. 혼불의 작품 구성은, 즉 첫째, 청암부인, 율촌댁, 효원으로 이어지는 종부 3대의 이야기를 중요핵심 줄기로 하고 있다.

그 중심에 청암부인이 있다. <내 홀로 내 뼈를 일으키리라>는 각오로 쓰러져 가는 매안 이씨 종가를 세운 청암부인은 작품에서 가장 매력있는 인물이다. 엄중한 범절, 헤아릴 수 없는 도량, 범접 못할 위험과 기품, 청암부인의 모든것을 압도하는 즉슨..동물의 왕인 호랑이를 연상케하는 풍모...,<혼불>은 청암부인의 등장과 업장, 치상과 회고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고, 청암부인의 죽음은 어떻게 보면 가문의 몰락을 암시한다고도 생각되어진다. 청암부인을 닮은 효원이 청암의 혼불을 빨아들인 장면에서는 효원 또한 청암부인의 생애와 크게 다르지 않는 삶을 살것이라는 막연한 상상을 했다. 즉슨..효원은 청암부인의 또다른 현신이라는 생각이다.

즉 효원이 청암부인의 혼불을 빨아들인 것은 효원이 청암부인과 거의 같은 길을(가문을 일으켜 세우는) 갈것이라것이 연상되어졌다. 그리고 두번째로 깊게 통찰해본것이 작품의 줄기에 넓게 포진해있는 강실과 강모의 근친애에 관한 것이었다. 효원과 강실과 강모의 미묘한 삼각구도속에서 세사람은 운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각자 흩어져 버린다. 강실이의 비극을 보았을때 하염없이 눈물을 넘기려던 책장속으로 뿌렸었다. 비극적 사랑...즉 근친애와 사랑없는 결합.(강모와 효원) 이 두가지의 대립은 필연적으로 파멸을 가져왔다. 어느누구도 행복해질수 없었던 비극적인 파멸...육체적 파멸과 정신적 파멸이 강실에게 드러나고, 효원의 마지막 장면에서의 정신적 파멸, 그리고 강모의 강실에 대한 사랑의 끈을 놓지 못 함으로써의 정신적, 육체적 파멸.

근친상간을 사회 도덕적 측면에서 결합시키지 않고 간절함만을 자아내게 하는 최명희 선생의 플롯에 경탄을 금하지 못하겠다. 그리고 도덕이라는 사회의 공동체에서 이단적인 행위(강실을 사랑한 죄)로 인해 만주로 추방당하는 강모..이것은 공동체가 강모에게 가하는 죄벌이라고도 생각되어진다. 이 소설의 구성적 대립을 잠깐 살펴보면, 기존의 관념과 새로운 관념의 대립이라고 볼수도 있다(강모와 강실의 근친상간) 또다른 대립은 신분제의 대립..즉 춘복을 핍박받은 민중의 의인화의 관점에서, 매안이씨 일가를 사회의 주류세력으로 보는 관점을 예로 들수 있다.

그리고 이 대립구조는 춘복이와 강실의 강압적인 결합으로 인해 깨어진다고 볼수있다. 시대의 흐름에 반항할수 없는 결합....아마도 그 시대의 우리나라의 격변기를 대변하고 있지는 않나 싶다. 이 혼불을 2000자 내외로 표현하기란 애초에 무리이다. 나는 이 소설의 겉만을 햝고 있는 것이다. 혼불은 읽었다고 알수 있는 소설이 아니다. 혼불은 두고두고 곱씹어서 읽어야 한다. 혼불은 내게 하나의 화두이다. 최명의 선생의 문체의 아름다운 비밀을 알고 싶다..그 화려한. 그리고 깊이 있는 묘사.....아!!! 우리 문학은 <혼불>이 있음으로써 아름답다..'혼불을 위한 혼불론' 최명희 선생님 진정 사랑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