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99%가 헷갈려하는 동음이의어
송호순 지음 / 페이스메이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이어도 가끔 한국어가 어려울 때가 있다.

예전에 티비에서 봤을 때 자소서를 쓰기 힘들다면 단어를 검색해서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 대체하여 쓰라고 하는 나름 신통방통한 방법을 들은 적이 있다.

맨날 노력, 성실, 최선이라는 단어를 쓸 바에 좀 더 풍부한 어휘력으로 보기 좋게 포장하는 방법일 것이다.

나도 시도해보려는 결과...

이 짓도 나름 책이나 기사 등 문장을 많이 읽어보고 다양한 어휘를 갖춘 사람이나 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뜻은 비슷하다는데 어찌 문장에 들어가면 엄마 옷 입은 어린애 마냥 어색해지는 걸까..

뭔가 글도 내가 아닌 것 같은 느낌마저 든다.

지금 취준생활을 하면서 그런 시행착오를 겪는 중이다.

가끔 신문이나 뉴스를 보면서 동음이의어를 맞닥뜨렸을 때, 예전 장애인 학생의 학습 지원을 했을 때 그 약간의 당혹감들이 기억난다.


솔직히 말해서 동음이의어 한 단어만 알고 다른 뜻을 모를 때면, 나중에 아! 내가 실수했구나 깨닫게 되면 부끄럽다 상당히.




책 한국인이 99%가 헷갈려하는 동음이의어는 이런 사태(?)를 조금이나마 막아줄 좋은 책이다.

문맥만 보고 대충 넘어가는 일 없이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동음이의어 사전이라고 봐야 할까.

아래 예문은 좀 웃긴데 요즘 말 그대로 젊은이들이 책을 안 읽고 스마트폰을 가까이해서 문장이 갖고 있는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기보단 단어 하나에 꽂혀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얼굴 붉어지는 일들이 많다.

심지어 기사에 나왔는데도 읽지 않고 한 대사에만 꽂혀서 쌈 나고요.





동음이의어 사전답게 ㄱㄴㄷ순으로 찾기 편하게 구성되어 있다.





첫 단어 경기에도 소리는 같지만 뜻은 다른 단어가 어찌나 많은지..

모든 단어들을 알 필요는 없지만 이 책은 일상에서(뉴스, 기사, 책 등등) 자주 사용되는 헷갈리는 단어들을 담았다.

요즘에는 한자 공부를 예전만큼 하지 않아 어려웠던 한자 공부도 할 수 있다.







신문에서 나오는 것처럼 예문도 같이 담겨 이해가 쉽고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것 같다.

한자 뜻풀이를 장황하게 했다면 오히려 읽기 힘들었을 텐데 간결한 뜻풀이가 어휘의 정확한 개념을 이해시켜준다.



예전에 대학교 교양수업에서 교수님이 자주 쓰시던 단어였는데 그때 처음 뜻을 알았다.

한자어는 여기서 다시 배웠네












나는 솔직히 고백하자면 어휘력이 좀 부족해서 언어영역은 물론 대학교에서 수업 지원을 할 때 참 힘겨웠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아는 것이 부족해서 많이 오타도 내고 내가 알고 있는 단어의 뜻은 하나인데 이 얘기에 이 단어가 쓰인다고?! 하며 얼버무린 아주 창피했던 시절이 있었다.

모르니 정말 엉뚱한 단어를 써놓고...

그래서인지 2학기까지만 하고 잘렸고요.. 흑

이게 나만의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텍스트보단 영상으로 보는 걸 선호하니 정말 당연하게 안다고 생각했던 단어의 뜻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을 보면서 풍부한 어휘력을 갖출 수 있는 것은 물론, 어디 가서 깊이 있는 대화, 격식 있는 어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중요한 건 뜻 하나만 알고 오해하는 일이 줄어들 것이라고 장담한다.

- 컬쳐300을 통해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