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호르크하이머에 따르면, 비판이론은 인문학 Humanities의한 분과인데, 그 동기는 현실과 이성 사이의 긴장이다. - P159

비판이론은 사회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거부하며, 반대로 항상 그것의 적합성과 정의에 대해 의문을제기한다. - P159

후기구조주의의 가장 중요하고비판적인 기여는 모든 형태의 근본주의에 비판을 제기하기위해 노력한 것이다. - P160

후기구조주의 사고에 따르면 우리는, 자신이 어떠한 문제의 본질을 알고 있기 때문에 진리를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모든 분파들을 의심해야 한다. - P160

건축 작업은 프로그램, 대지, 재료, 역사와 사회적맥락에 대한 모방적 관계를 통해 그것이 속한 사회적 조건에비판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P161

이러한 비판적 반영은건축이 자율성을 획득했기 때문에 가능하다. 건축은 기술, 기능, 경제적 요구 등 외부 영향들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되는것이 아니다. - P161

건축이 자율성을 획득한 순간에 대한 지각이 비판적 건축에 대해서 참으로 필요조건이긴 하지만, 충분조건인것은 아니다. - P161

근대 건축은 사회적 프로젝트와 등가인데, 기존 사회에대한 비판적 자세를 바탕으로 유토피아적 색채를 가지고 있다. - P162

그들 모두는건축 패턴과 사회 현실 사이에 명확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확신했으며 그들의 작업이 더 정의롭고 나은 세상에 기여하는것을 상상했다. - P163

사회 현실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비판적 건축의유일한 개념은 아니다. - P163

마이클헤이스는 다소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작업한다. 1984년그의 논문인 「비판적 건축: 문화와 형태 사이」는 미스 반 데어로에의 작품을 논하는데, 건축의 비판성을 건축의 자율적순간보다는 건축의 자율성 그 자체에 둔다. - P163

미스는 그의 건축을 생각들이 들끓는 커다란 덩어리인 문화culture와 주위환경에서 자유롭다고 가정된 형식 form의 경계에 위치시켰다. - P164

비판이론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란, 사회 현실과의 관계에 대한견해로부터 사실과 담론을 평가하겠다는 주장이다. - P164

건축에서의 비판성에 대한 두 가지의 이해 (하나는 사회적이고 다른하나는 미학적으로 고무된) - P165

이 논쟁에는 아방가르드가 무엇인지를 사고하는 두 가지 다른 방식이 있다. 첫 번째영웅적인 아방가르드는 문자 그래도 ‘전위’라는 의미에 기초하는데, 행진하는 군대의 최전선과 미지의 영역을 탐지하는정찰병을 의미한다. - P165

그들은 아방가르드를 모더니즘의 가장급진적인 부분인 ‘창끝’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더욱 최근에는그에 필적하는 다른 견해가 있는데, ‘위반’이라는 측면을 강조한다. 이 견해는 페터 뷔르거에 의해 이론화 되었다. - P166

그들의 목적은 일상생활과 괴리된 예술, 사회 시스템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독립적인 영역으로서의 예술을 폐지하는 것이었다. - P166

미래주의, 다다이즘, 구조주의, 초현실주의 같은 운동들은 ‘예술을 삶 속으로!’라는 원칙에 따라 행동했고 예술적 행위와 일상생활을 분리하는 전통적 경계에 반대했다. - P166

안드레아스 후이센 Andeas Huyssen은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그러한 방식으로 아방가르드를 이해했다. 그에게 아방가르드는 모더니즘의 가장 급진적인창끝이 아니라 모더니즘에 대한 대안이다. - P166

헤이스와 아이젠만이 지지하는 비판적 건축에 대한 미국식 인식이 엘리트적 외견의 모더니스트와 가깝다면, 필자가 지지하는 유럽식 이해는 예술과 일상의 분리를 철폐하는 아방가르드 개념과 더 가깝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P167

비판적 건축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명백하게 미국적 색채를 선호하며, 재현과 자율성이라는 개념에 기초해서 지시적 indexical과 변증법적dialectical이라 성격 짓는다. - P167

베어드가 지적한 것처럼 콜하스를 탈비판적 부류로 의구심 없이 편입시켜버리는데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 - P168

그들의 전략은 ‘비판적 건축’의 전체 개념에 대한 잘못된표현이라고 정리될 수 있다. - P171

비판적 건축의 지엽적 측면에집중하여 다른 부분을 외면함으로써, ‘투사적 건축’이라는새로운 종류의 건축을 옹호하는데, 그것은 많은 부분 단지오래된 ‘비판적 건축’의 새로운 변용일 뿐이다. - P171

라인홀드 마틴이 지적하듯이 "탈비판적 프로젝트는 참으로 오이디푸스적이다" - P171

우리는 유토피아적사고가 모더니즘 운동의 가장 중요한 유산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왜냐하면 유토피아적 사고는 현재 상태를비판하는 역량과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고 건설하고자 하는결단의 용기를 담지하기 때문이다. - P176

자하 하디드와 패트릭 슈마허의 작품 전시회는〈잠재된 유토피아〉라고 제목을 붙였었다. 그리고 그것의홍보물은 ‘모든 시대는 자신의 유토피아가 필요하다. 자기 미래의 발전을 사고하지 않는 사회는 흥미롭게도 매우불안정하고 심지어는 괴물 같다.‘라고 했다. - P176

오늘날 유토피아는 미래 사회에 대한단일하고 잘 규정되며 단도직입적인 개념일 수 없다. - P177

유토피아는 불가피하게 역설과 모순에 의지한다. 그리고 우리는현재를 무엇이든 더 나은 미래로 변형시키기 위해 역설과모순을 가지고 작업할 수밖에 없다. - P177

‘구체화된 유토피아’라는 용어와 일치한다. 그들에게 이 용어는 현재의 제한적이고 차별적인 공간에 대한 대안을 상상하는 행위와 모든 물질성에서 그것을 실현하는 것을 지시한다. - P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방가르드에 대한 첫째 의미는1968년에 발표된 레나토 포지올리Renato Poggioli의 이론에 많은 부분 기대고 있다. - P154

포지올리에 의하면 이러한 경향은, 고급 예술로서 새로움과 독특함 자체가 목적인 아방가르드가 된다. - P154

이러한 태도는 근본적인 목적에서부터 일상 즉 사회와 스스로를 구분하고자 했으며, 예술이 갖는 내재적 형식에 대한 실험과 심미화를 가속시키는 역할을 했다. - P154

아방가르드의 두 번째 해석은 1984년에 발표된 페터 뷔르거의 이론에 근거한다. - P154

뷔르거의 아방가르드는 오히려 첫 번째 부류의 아방가르드가 구축한 제도로서의 예술을 타파하고 예술과 사회의 단절을극복하는 것을 진정한 과제로 삼았다. - P154

필자는, 피터 아이젠만과 마이클헤이스의 비판적 건축은 포지올리의 아방가르드 해석과 맥을 같이 하지만, 진정한 비판적 건축은 사회성을 강조한 뷔르거의 해석을 따라야한다고 주장한다. - P154

하이넨의 눈에 그들이 스스로를 탈-비판적이라고 부른 것은 건축의 비판성과 아방가르드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오해와 헤이스와 아이젠만이라는 선대에 대한 ‘오이디푸스적‘ (즉 전복적) 욕망이 야기한 결과다. - P155

로버트 소몰과 사라 와이팅이 주장한 투사적 건축은, 사실 뷔르거가 주장한 사회적 아방가르드의 한 부분이며, 따라서 하이넨은 그들의 탈-비판적 건축을 통해서도 여전히 건축의 사회적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판성은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 P155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해석에 따르면 건축의 사회성이란, 사회의 기존 논리나 문화를 그대로 재현하거나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개입하여 새로운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 P155

그녀에 따르면 유토피아 개념은 모더니즘이 우리에게 전해준 가장 중요한 가치지만, 모더니즘과 함께 폐기됐기 때문에 다시 부활시켜야만 한다. - P156

모더니즘은 보편주의, 진보적 이상, 그리고 정치실무로서의 식민지 담론을 통해 식민지주의를 부추긴 경향이 있으며, 성차별 또한 모더니즘의 담론, 실무, 공간 표현의 다양한 층위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한다. - P156

해결하지 못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하는 거시적 자세 혹은 열망이 바로 유토피아에 대한 동력이라고 주장한다. - P156

마지막으로 그녀는 새롭게 부활된 현대적 유토피아란, 과거처럼 단일하고 잘 규정된 개념이 아니라, 다형적이고 외견상 혼돈스러운 논리를 다루며, 불가피하게 역설과 모순에 의지할 수밖에 없고, 더 나은 세상을 수용하기 위해 파편적인 변화와 불완전한 미완의 프로젝트들을 통해 구체화되는 잠재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 P156

그녀의 주장에는 몇 가지 근본적인문제가 발견된다. 우선 유토피아 개념을 식민지주의와 성차별의 문제로 직접 연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쟁점을 지나치게 협소하고 심지어는 시대착오적인 주제로 축소해 버렸다. - P157

식민지주의 논쟁은 일부 학파의 지속적인 주장에도 불구하고 현대가 명백히 자본주의 사회라는 점에서 시대착오적이다. - P157

그녀는, 사회에 대한 인식을 식민지-피식민지, 착취-피착취의 이분법적 구조로 환원해 버렸다. 이는현대적 비판성을 주장한 그녀의 취지와는 다르게 근대 제국주의를 이해할 때에만 유효한 경직된 인식구조라고 할 수 있다. - P157

내재적 모순 구조는외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대인의 벗어날 수 없는 굴레이기도 하다. 또한 근본적으로 일원론에 기반을 둔다는 점에서 이분법 구조로 설명 가능했던 근대의 착취 혹은 계급투쟁이론과는 근본적으로 구별된다. - P157

이분법적 투쟁이란 이 모순구조에 대한 하나의 가상이다. -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지금 알고 있듯이 "냉정"하고 사변적인 히키 조차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저항"에 계속참여하고 있다. - P129

소위 "투사적" 방식이 가져올 중요한 사회적 변형에대한 포부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비판적 평가 모델을 어떤 범주에서 개발할지 또한 무척 궁금하다. - P131

그런 모델이 없다면건축은 너무 쉽게 개념적으로 그리고 윤리적으로 다시 표류할것이다. - P132

프로젝트 이론이 없다면 놀라운 속도로 이 새로운 건축은
"단순히" 실용적인 것 그리고 "단순히 장식적인 것으로전개될 것이라 예상한다. - P132

전위예술이 철학이라는 지적 영역에 의지하며 미리 주어진 아이디어, 이론, 개념을 따른다면, - P137

탈-전위예술은 지능에 의존하며 어떤 아이디어, 이론, 개념으로는 예측할 수없는 혁신의 기회를 모색하며 시장의 잠재력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긍정한다는 점에서 사업가적이라고 말한다. - P137

스픽스의 지론에 따르면, "이론은 시대착오적일 뿐 아니라 건축에서 혁신의 문화 발전에 방해물에 불과"하다. - P137

스픽스에 따르면, 이론은 생각과 행동이 분리되며, 생각이 행동보다 우위에 서서 행동을 이끈다는 위계적 사고방식의 일환일 뿐이다. - P138

스픽스는 이제 이론이 아닌 지능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며, 지능은 오늘날 모든 부가가치의 원천이라고 말한다. - P138

"디자인 지능"은 생각과 행동을 통합시킨 개념으로 등장한다. 그는 그렉 린Greg Lynn의 폼FORM이나 베르나르 카슈Bernard Cache의 오브젝타일objectile 같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설계사무소에서 벡터기반의 정보를 통한 프로토타입의 창조로 혁신적 프로세스를 만들어내는 것을 예로 든다. - P138

이런 디지털 매체의 혁신으로 인해, 이론보다 건축가의 수행능력이 더 중요해지고 그런 숙련자만이 건축 규율이 정한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고 전망을 내리고 있다. - P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 비평에 만연한 담론이 지닌 문제는 건축에서 가장 깊이있는 동기 안에 뭔가 비판적일 수 없다는 점이 있다는 것을깨닫는 데 무력하다는 것이다." - P110

무척이나 수정주의적인 이 글에서, 스픽스는 현대 비즈니스 경영 실무에서 단서를 취할 수 있는새롭고, 대안적이며, 효율적으로 통합된 건축 모델을선호하면서 스승인 프레드릭 제임슨에게 배웠던 "저항"을명시적으로 폐기했다. - P111

이 글에서소몰과 와이팅은, 와이팅과 나의 하버드 동료인 마이클헤이스가 오랫동안 널리 알린 "비판적 건축"의 개념화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쳤다. - P112

나는 많은 것이 위기에 봉착했다고 보기 때문에, 앞에서설명한 이런 갈라짐이 얼마나 펼쳐졌고 무엇이 위기에처해있는지를 추적하고, 명확히 요약해보기로 했다. - P112

가장 설득력이 있고 내적으로도 일관된 해석 중 하나는헤이스의 동료이면서 건축 실무자인 (그리고 꽤 훌륭한 이론가이기도 한)피터 아이젠만의 해석이었다. - P112

아이젠만의 입장은 근본적으로 이탈리아 역사학자이자 비평가인 만프레도 타푸리의 작업에서 기인하지만, 자크 데리다, 지아니 바티모 등 현대 사상에서 중요한 다른 인물들을 통해 자신의 생각에 살을 붙였다. - P112

아이젠만 못지않게 헤이스에게도 타푸리는 중요한 인물이지만, 동반되는인물은 죄르지 루카치György Lukács, 테오도르 아도르노와프레드릭 제임슨이다. - P113

그의 입장으로 인해, 이런 거부 혹은 저항을 담는 구축 형태는잘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를 도출하는 건축생산보다는 과정이 더 중요한 디자인 방법론을 도출해왔다. - P113

이러한 미묘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지난 20여 년 동안아이젠만과 헤이스는 현대 건축과 건축 이론에서 "저항"을옹호하는 강력한 짝을 이뤄왔다. - P113

케네스 프램프턴은 비록 그의 지적 계보가 타푸리보다는아도르노와 하이데거에 더 의존할지라도 소비 사회에 "저항"하는 헌신은 같은 기간의 아이젠만과 헤이스만큼확고했다. - P114

마이클 소킨 Michael Sorkin이 있는데, 그는 내가지금까지 대화해본 인물 중 누구보다도 정치적으로 말하는사람으로, 뉴욕의 "길거리 싸움꾼street fighter"이다. - P114

아마도 가장 분명한 "비판적" 미국 디자인 실천은 『하버드디자인 매거진』의 ‘상황 점검‘ 심포지엄에는 참가하지 않았던 두 인물인 엘리자베스 딜로와 리카르도 스코피디오의 작업이었을 것이다. - P1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어드는 앞서 타푸리에게 콜하스적 측면이 있듯이 콜하스에게도 타푸리적 측면이 있음을 드러낸다. - P106

콜하스는 단순히 탈비판 진영에서참고하는 이유인 ‘비판 없는 건축가‘가 아닌 셈이다. 베어드가 이렇게각 진영의 배후에 있는 인물의 반대 측면을 부각하는 이유는 두 진영의 대립에서 새로운 길을 찾으려는 시도 때문이다. - P107

건축으로 비판성을 추구하기 어렵다는 것은, 이를추구한 아이젠만이 결과물 보다는 건축 디자인 과정에 방점을 두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 P107

사회 전체에 대한 부정의 태도로는 건축 행위 자체가 막힌다. 여기에 틈을 열어주는 접근의 근거를 제공하는 인물이 문화비평가 데이브 히키Dave Hickey다. 탈비판 진영에서 많이 인용하며 냉정한Cool 접근법, 즉 "편안하고 쉬운" 방식의 건축의 논거 제공자로 다루 - P107

베어드는 냉정하면서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저항‘에 계속 참여"하는 인물로 본다. 그래서 아이젠만과 헤이스의 열정적 비판보다는냉정한 비판의 가능성에 관심을 둔다. - P108

비판성의 세대와 탈비판의세대의 갈등에서 베어드가 추구한 바는 명확하다. 편하고 쉬운 방식의건축에 비판성을 담는 것이다. - P108

타푸리의 현실 참여적인 이면을 드러내고 렘 콜하스의 실무적이고구체적인 비판성을 강조한다. - P108

탈비판 진영의 투사적 건축가가비판 없이 건축할 경우 "단순히 실용적이고" "단순히‘ 장식적인" 건축으로 전락할 것이라 경고하면서 글을 끝맺는다. - 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