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제복을 입은 백인이 인디언 부족의 집과 토지를 대대적으로 몰수하면서 인디언은 새로운 거주지를 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바로 만화 같은 트레일러 주택이다. - P73

우리는 친환경적인 주택으로 자연을 장식하려는 라이트의 야심을 ‘브로드에이커 시티Broadacre City 공동체 계획안‘에서 다시 만날 수 있다. - P79

일종의 ‘거대한 녹지 공간‘을 조성하려는 이 도시계획은 단위 부재(일정한 규격의 자재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주위 환경에 친화적인 유소니언주택 Usonian House의 설계에 개념적 바탕을 제공한다. - P79

1929년에 경제공황이 시작되면서 직장과 살 곳을 찾아 거리를 헤매게 된 사람들을 위해,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허버트-캐서린 제이콥스Herbert et Katherine Jacobs 부부와 함께 5천 달러의 저가 주택을 만들기 시작한다. 이것이 유소니언 주택의 출발점이다. - P80

유소니아Usonia는 미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을 참조하여 만든 약어이다. 땅 위에 바로 세워진이 주택은 L자 형태이며, 지붕은 평평하다. 건축 자재는 벽돌, 목재, 판유리 그리고 때로는 콘크리트 같은 저렴한 것을 사용한다. 차고는 주택과 나란히 붙어 차양을 이룬다. - P80

라이트는 자신의 저서 《미국의 미래》(1953) 중 <판지로 만든 집>이라는 장에서 건축의 단순성을 예찬한다. 이는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좀 더 향상된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P80

라이트에게 있어 단순성은 필수 요소다. 거주자의 욕망을 해소하기보다는 불편하게 만드는 군더더기는 없애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장식을 위해 과도하게 증축되는 다락방과 폐물의 지표인 주택의 기단부는 생략한다. - P80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Louis Sullivan은 고층 빌딩을 프리즈‘로 장식하는 디자인 문법을 고안해냈는데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현대성을 발휘하고 있다. - P82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사정은 그렇지 못하다. 다양한 문체의 ‘어휘 (…이 다시 말했다)‘에서 차용한 ‘인용문(…이 말했다)‘들을 조합하고 있음에도, 오늘날 그것은 우스울 정도로 퇴색한 인상을 준다. - P82

새로운 건축물은 더 이상 현상계와상징계를 잇는 일 따위에는 관심이 없으며, 인간의 몸을 건축의 척도로보지도 않는다. - P86

마당은 여전히 가족 모두에게 중요한장소다. 마당의 위치가 가옥과 창고, 부엌, 화장실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 소우주에는 개인이 양도받은 토지 내에서 사회 및 가족의 관계, 성별과 세대 그리고 혈족 관계가 그대로 드러난다. - P86

가난한 사람들은 목공이 예술적 긍지를갖고 섬세하게 세공한 개성 있는 목제 문보다 시장에서 파는 규격화된금속제 문을 선호했다. 심지어 지붕의 천창을 메워버리거나 벽에 창문을 냄으로써 건축가가 가까스로 부활시킨 자연적인 환기장치를 변질시켰다. 파이프 도관과 위생 시설물은 분해하여 팔아치웠다. - P89

하싼 화티는피로와 슬픔이 배인 어조로 구르나에서의 경험은 실패였다고 고백했다. - P89

세계 어디든 지붕의 형태는 상징적이며, 경사지붕과 옥상지붕이라는 두 가지 기본 형태가 존재한다 - P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