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적으로 건축물을 지을 지역으로 내가 가장 선호하는 곳은 배, 수레, 가축으로 여름은 물론 겨울에도 필요하고 유용한 것들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자주 접근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지역 자체는 물이 많아서 습하지도 않고 가물어서 건조하지도 않아야 하고, 그 대신 안락하고 온화해야 한다.

건조함이 몸과 영혼에 각별히 해롭다고 보기는 힘들다. 또한 건조함으로부터 사람이 굳세어지고 추위로부터 사람이 강인해진다고 사람들은 생각한다. 무릇 습기에는 몸이 노곤해지고 열기에는 풀이 꺾인다고 사람들은 단언한다.

가장 좋은 지역은 [37] 적당히 습하고 온화한 곳일 것이다. 즉, 거기서 태어난 사람들은 키 크고 잘 생기고 우울증이 없다.

그다음으로 좋은 지역은, 눈 내리는 지방들에서는 다른 지역들보다 해가 더 잘 드는 지역들일 것이고, 또한 햇볕이 쬐이는 건조한 지방에서는 더 습하고 그늘진 지역들일 것이다.

건축물을 놓을 곳으로 골짜기 속에 감추어진 것보다 덜 알맞고 덜 적절한 곳은 어디에도 없다.

따라서 장소는 알맞고 순응하는 형태를73가져야 한다. 또한 낮아서 가라앉아 있지 말고 높아서 내려다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런 곳에서 공기는 쾌적하고 바람의 숨결로 늘 생기가 넘친다

사실 음악인들은 환자들을 다양한 형태의 화성들로 다룬다. 그래서 들어맞는 것이 연주될 때에는 환자가 벌떡 일어나 기쁨에 넘쳐서 모든 신경과 근육을 혹사시키면서 자신의 환상을 만족시키는 모든 방식으로 그 음악에 시간을 보낸다.

바닥은 앞날의 건축을 위해서 선택한, 지역 전체 중에서 정확히 한정되고 지정된 일부

직선은 두 점을 잇는 가장 짧은 선이다. 곡선125은 원의 일부다.

아무런 직선도 쓰지 않고 곡선만으로 만든 다각형 바닥 건축물을 내가 고대 건축물에서 본 적은 없다.

직각이 가장 편리하게 쓰인다.

예각은 전혀 쓰지 않는데, 작고 사소한 바닥에서조차 땅이나 바닥의 중요한 원리와 방법 때문에 마지못해 어쩔 수 없지 않으면 쓰지 않는다.

둔각은 충분히 중시해야 하는데, 그 숫자는 늘 짝수여야 한다.

무릇 바닥들 가운데 가장 유능하고도, 또한 둑이나 벽으로 둘러싸는 비용이 가장 적게 든다고 단언할 수 있는 것은 원형 바닥이다.

가장자리 선들은 맞은편 구역의 것들과 같게 한다. 또한 건축물 전체에서 어디에서도 가장 긴 선들이 가장 짧은 선들과 곧바로 붙어서는 안 되고, 그 대신 그것들 사이에 사태들의 계산에 따라 올바르고 어울리는 비례가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