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실거리는 지붕의 파도와 숨 가쁜 생명의 움직임, 파리의 지붕을 망망대해와 동일시한 은유적 표현은 파리의 문단을 휩쓸었다. - P43

수많은 우주생성론에서는 집을 인간의 몸과 동일시한다. - P52

전통 가옥은 우주적 상징주의를 부분적으로 형상화한다. - P52

‘하늘의 창‘이라 지칭되는 지붕의 천창은 하늘과의 소통을 담당한다. 중국인은 몽골인이 사는 텐트 꼭대기의 창구를 같은 이름으로 부른다. 중국어에서 ‘하늘의 창‘이란 표현은 ‘굴뚝‘을 가리키기도 한다 - P52

몽골인의 텐트 중앙에는 말뚝이 있는데, 창구를 통과하여 밖으로이어진다. 이 말뚝은 상징적으로 ‘세계의 기둥‘, 즉 악시스 문디axis mundi‘ 와 동일시된다. 악시스 문디는 집을 지탱하는 중앙 기둥으로 세계 곳곳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다. - P52

하늘을 지탱하는 기둥, 대지와 하늘을 연결하면서 생명과 지식을드러내는 나무, 성스러운 세계로 승천하는 것을 돕는 성산 등은 수많은 우주론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원초적인 축의 상징이다. 사람들은유추를 통해 그 상징들을 집의 공간에서 찾아낸다. - P53

"우파니샤드‘나 불교 이후의 인도 종교, 즉 비우주적 종교에서 하늘을 향해열린 구멍은 인간적 조건에서 초인간적 조건으로 이행하는 것이 아닌 초월, 우주의 소멸, 자유를 나타낸다. - P53

만일 상품 카탈로그를 보고 ‘집장사꾼‘의 공동주택을 구입한다면, 이는 조상에 대한 폭력이나 이웃을 향한 결별 선언으로 여겨질 것이다. 생각할 수조차 없는 일이다. - P54

하지만 집의 형태는 대체로 변하지 않는다. 문제는 현대성을 전통에 통합하여 흡수하는 것이다. 좀 더 분명히 말하면, 이런 문화권에서 중요한 것은 선망받는 현대성의 전통을 창출하는 일이다. - P54

1945년에 첫 출간된 《환경과 기술》에서는 주거를 설명하는 데한 장 전체를 할애하여 지붕에 관한 설득력 있는 글을 남겼다. 이 책에서는 "어느 곳에서든지 건축에서 가장 다루기 힘든 부분이 지붕이다"라면서 몇 가지 예를 제시한다. - P56

지중해 주변, 중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인도뿐만 아니라 미국 남부와 멕시코에서도 볼 수 있는 테라스형 지붕, 몽골의 전통 가옥인 게르Ger나 아프리카 전통 가옥의 원뿔형 지붕, 필로티형 가옥의 양면 경사지붕 서까래 지붕 등이다. - P56

특허 보호 기간을 줄이면 지식이 더 빨리 공공 영역으로 나오게 되어서 특허라는 양날의 칼 중 혁신을 방해하는 쪽의 날을 좀 더 무디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