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례들은 ‘탈구성decomposition‘ 개념과 자신의 작업을 발전시킨 후 즉시 이루어진 접근방법인 ‘해체deconstruction‘ 개념의 차이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 P215

그러므로 컨텍스트는 상속하게나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건축이 지속적으로 발명하여야만 하는 현실인 것이다. 확실히 칸나레지오는 그의 경력에서 가장 융성한 시기의 한 과정으로서아이젠만의 작업을 빛나도록 운명짓게 한 중요한 발견이었다. - P217

역사적 중심을 이해하고 고양하는, 즉 보존하는 데 실패한 근대건축에대한 대응으로서 ‘포스트모던‘ 적인 태도가 등장했다. 역사적 중심은 숭배의대상들로 변환되었다. - P219

일반적으로 중심은 두 가지 방법으로 취급되었다. 오래된 도시구조의 명백한 단편들은 자연사 박물관의 뼈나 유적과 같이 보존되거나, 뼈를 재결합하고 피부와 살을 복원 또는 가설적으로 다시 만들어서, 새로운 결합물이 마치 ‘자연적‘ 무대의 장식물인 박제된 동물처럼 나타났다. - P219

대지를 개발하려는 우리의 전략에는 두 가지 부분이 있다. 첫 번째 의도는 대지의 특별한 역사를 드러내는 것으로서 특별한 기억들을 가시화하여대지가 한때 특별한 곳이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오늘날의 베를린이 큰 의미에서 볼 때 세계에 속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 P219

아이젠만이 입체파 화가들의 면 중첩 원리에 일치하는수년간의 형태실험에 대한 영향을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다. 베를린 프로젝트는 오직 이러한 방법으로만 설명이 가능한 형태 프로세스의 결과이다. - P2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