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문화에서 지붕은 보호를 뜻하는 중요한 상징 기호다. 초기 인류가 머물던 동굴과 뒤이어 등장한 ‘원시 오두막‘은 건축의 선사시대를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 P9

암벽 안쪽으로 움푹 파인 피난처는 거주자를 완벽하게 감싸주는 빈 공간이다. 동굴의 지붕은 바닥과 벽과 일체를 이루는 일종의 알과 같은 형태로서, 20세기의 몇몇 건축가는 이를 재해석하여 유기적 공간으로 제시했다. - P9

예술가이자 건축가인 앙티 로바그는 "기술혁신은 궁극적인 목표가 아니라 인간과 환경을 존중하면서 진행되는 복합적인 과정의 결과여야 한다""고 보았다. - P10

‘가변 건축‘과 ‘공중 도시‘ 이론을 집요하게 펼쳐온 요나 프리드먼Yona Friedman은 기존의 도시 위에 강철재로 만든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여새로운 교통망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 P11

영국의 건축 그룹 아키그램 Archigram‘을 비롯한 몇몇 건축가들은 피터 쿡Peter Cook이 제시한 인스턴트 도시인 ‘공기 주입식 거대 비행체‘를닮은 비행 도시를 제안했다. - P12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는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단일성을 단순한 이론적 차원을 넘어 일상에서 지지하고 실천한 최초의 북아메리카인이다. 소로는 여기저기서 수집한 널빤지와 버려진 건축물 골조, 중고 문틀 등으로 월든 숲 한복판에 오두막을 지었다. 무엇보다 지붕을 튼튼히 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