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사부아에는 소실점들이 있어서 일반적인 원근법을 보여 준다. 반면 알토가 지은 집에는 소실점이 없다. 빌라 마이레아는 바깥 풍경과 합쳐지고 맞물리면서 공간을 확장시킨다. 빌라 마이레아 안에 있으면 고개를 돌릴 때마다 시야의 중첩이 느껴진다. - P167

빌라 사부아의 엄격한 기하학적 공간을 걷고 있노라면 순수주의 선언의 고정된 확실성이 느껴지지만, 빌라 마이레아 내부를 거닐면 불확실성의 현상학적 수용을 경험하게 된다. 마치 불확실성 그 자체가 알토의 작품 주제였던 것처럼. - P167

정교하게 면을 이루는 형태에 반사되거나 굴절된 빛의 현상적 특성들은 면을 가진 형태 제작의 형식적 양상들을 초월한다. 그 형태들은 지는 해의 환한 주황빛에 물들고, 그 빛은 그것들의 인공적인 표면에서 날마다 변한다. - P168

자연광과 그림자는 우리에게 영감을 주고 기운을 북돋는 심리학적 힘을 갖고 있다. 태양 각도의 계절적 변화가 일출로부터 일몰까지의 변화에 의해 증폭되면 빛과 융합된 다공성은 아름다운 무용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 P168

오늘날 새로운 디지털 기술은 과거에는 도달하기 어려운 수준의 다공성을 막과 펴면, 고형물에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현상적 특성을 지닌 21세기 건축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 P168

하지만 기술의 힘이 아무리 전능하다 해도 여전히 인간의 동기가 필요하며, 정신과 물질의 연결이 요구된다. - P168

그러지 않으면 우리의 모든 작품은 허망한 과시이거나 유행을 조작하는 어설프고 경박한 행위로 전락한다. - P169

디지털 방식으로 구동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객관적 측면이고 마음을 움직이는 생각들이 주관적인 측면이라면, 물질과 정신을 이어 주는 것은 객관과 주관의 융합이다. - P169

일종의 직관이나 <주관적 이상(理想)〉은 객관성을 움직이는 힘으로서 반드시 필요하다. 최후의 물리적 형태에서는 기술의 힘이 드러나지 않는다. 정신의 감각적 경험 안에서 성찰이 그 존재를 완성한다. - P169

우리는 평면, 단면, 입면이 같은 물체를 최초 모델로 삼았다. 바로 멩거 스펀지라고 불리는 과학적 물체인데, 이 물체는 다공성 안에 다공성이 존재한다. 우리는 이 형태를 모턴펠드먼의 작품인 반음계의 패턴들Patterns in a ChromaticField」의 음악적 콘셉트와 조합함으로써 이 건물의 컬러필드를 규정하는 우연적 효과를 이끌어 냈다. - P184

시먼스 홀의 스펀지 콘셉트는 일련의 시설적 기능과 생물공학적 기능을 통해 다공성 건물 형태학을 변형시킨다. 이 건물 전체에는 커다랗게 다섯 곳이 뚫려 있다. 이 부정형 터널들은 기숙사의 주요 출입구, 전망 복도, 주요 옥외 활동 테라스에 거의 상응하며 체육관 같은 각종 시설들과 연결된다. - P186

우리는 다공성 개념을 건물 전반에 체계적으로 적용했다. 처음에는 도시 레벨로, 이어서 벽의 스케일로, 그리고 각방에 9개의 창을 내는 것으로 말이다. 모든 학생은 자기 방의 창문 9개를 모두 열 수 있다. - P204

내가 아는 한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건축은 언제나 밖에서 보이는 것보다 안에 들어가 경험하는 것이 훨씬 더 의미심장해야 한다.」 - P225

이 건물은 천연 소재와 노출 자재로 마감하여 경제적이다. 레이어가 하나뿐이다. 바닥은 콘크리트이고, 천장도 노출콘크리트이다. 내부에 구멍이 뚫린 콘크리트 바닥 판을 따라 모든 HVAC 시스템이 깔려 있어서, 모든 냉난방이 바닥을 통해 이루어진다. 시공은 복잡해도, 덕분에 덕트가 노출되지 않는다. - P226

기업들은 대부분 도시에 대한 비전이 전혀 없으며, 그들중 일부에게는 기업이라는 호칭도 아깝다. 그냥 장사치일뿐이다. 그들은 최대 30층짜리 건물을 지으면서 개별 아파트의 수를 최대로 채워 넣는다. 대리석 바닥과 구리 문손잡이로 이루어진, 커다랗기만 한 아파트. 건물 주위에는울타리가 둘러쳐져 있고 경비가 둘씩 있으며, 주민들은 차를 이용해 출입한다. - P241

나는 우리가 도시적 상호작용의 비전이 있는 프로젝트를만들어야 한다고 믿는다. 각종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고일반인에게 열려 있는 프로젝트 말이다(가게들이 생존하기 위해서 그래야만 한다). 나는 이렇게 말했다. 「보세요, 여기는 매우 개방적입니다.」 - P241

특정 도시들의 빛과 공간의 현상적 성질들은 도시 생활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이상하게도 도시 계획자들은 도시의 공간과 형태(때로는 참담한), 도시 경험에 막대한영향을 주는 리포트나 책을 준비할 때 좀처럼 이런 것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 P245

현대 의학이마침내 심신(心身)의 불합리한 정신적 힘을 깨달았듯이, 머지않아 도시 계획자들은 도시의 경험적 현상적 힘이 완전히 설명될 수 없고 주관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깨달을지도 모른다. - P245

나는 이번 논의를 다섯 부문으로 구성했다. 도시 파편City Fragments, 다공성Porosity, 삽입Insertions, 관구Precincts, 융합Fusion. - P246

도시 기폭제로서의 건축 프로젝트에 관한 나의 논의는 마스터플랜이 아니라 이상적인 증식 행동들에 대한 것이다. 끝없이 논의되고 정치적으로 뒤얽히는 마스터플랜은 너무 느려서 21세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대개 슬그머니 변경되거나 폐기되어 버린다. - P2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