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진실로 본다면 바퀴벌레의 생명도 바퀴벌레로서는 절대 소중하다. 생명의 허무로 본다면 사람이나 바퀴벌레가 다 같이 영원 속에서는 마찬가지로 허무하다.

결국 인간은 개인만을 위하여 사는 것이아니라 인류의 성장을 위하여 사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것은 곧 인간의가치를 올리는 일이다.

인간의 가치는 나를 위한 장수(長壽), 나를위한 권력, 나를 위한 돈보다는 자기와타인의 생활은 위하여 보탬이 되는 일에서 더 발휘된다.

인간의 생명을 의의 있게(有意義)하며, 서로 느끼게 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돈의 가치도, 권력의 가치도, 생명의 가치도 새로운 의미를 낳게 된다.

시간으로나 공간으로나 모든 사람들 사이에서 그런 가치가 세로(시간)로 이어지고 가로(공간)로 연결된다면, 눈 깜짝할사이가 이어져서 영원을 이룬다는 얘기가 된다.

그런 가치를 어떤 사람처럼 한 잎의 꽃으로 비유한다면 모든 시간과 공간의 사이(間)가 그런 꽃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환한 아침 햇빛이 드는 사랑방에서 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의 최선의 길, 가치를 공간의 ‘사랑방’을 위하여 잠깐 생각해 본다.

그러던 어느 날, 그가 나의 사무실을 찾아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내가 너무 많은 사람을 쓰면, 정말로 친밀하고 본질적인 자기 일은 되지 않을뿐더러, 조직에 압도당해버리니까, 나는 많은 인원으로는 하지 않지.‘ 라는 식의이야기를 했더니, 한국으로 돌아간 그가 자신이 만든 몇백명의 큰 조직을 파산하고, 작은 조직을 만들어 단순하게 건축을 하기 시작한 의외의 면도 가지고 있습니다.

건축가에게는 어떤 일이 있어도 그것을 극복하고, 구체적으로 해결해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만, 김수근에게는 일본 건축가가 가지고 있지 않은 엄청난 활력, 저력을 느낄니다. 그것은 그의 성장 과정, 한국이라는 배경에서부터시작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국은 섬나라인 일본과는 달리, 마치 폴란드처럼 주변으로부터의 끊임없는 침략에 위협당하거나, 긴 시간 식민지로 괴로운 시대를 보낸 역사가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과 그가 서울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좋은품행과 한국의 가정적인 전통을 지키는 것이 그의 따뜻한인간미와 이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꼬르뷔제의 영향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건축을만들었던 모양입니다만, 그 후에 소위 말하는 바우하우스적인 근대건축으로, 최근에는 자신의 느낌으로부터 출발하는 디자인으로 변하게 된 듯합니다. 그는 좋은 것을 흡수해서, 그것을 점점 자신의 것으로 전환해 가는 능력이있습니다.

전쟁 후, 한국에는 김수근이 있었기에 세 번 정도 갔었습니다만, 그의 오피스 <공간사옥>은 꽤 재밌는 건축이라고생각합니다. 현재는 단순한 디자인이 건축이 된다는 풍조가 있어서 건축에서 <인간의 정신>이라는 문제가 비교적소홀하게 여겨져 왔는지도 모릅니다. 그것은 <건축의 정신>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겠지요

한국의 문화에는 매우 독특한 세계가 있고 유니크하고 귀중한 것이 있습니다. 일본에는 없는 상당히 날카로운, 샤프한 면이 있는데, 그것을 제가 좋아하는 음악으로 말한다면 탁․탁 냉엄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장구라는 북입니다.

조선 시대의 것에는 세계에서도 대단히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는 독특한 인간적인 면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자기 (사기그릇/도자기)는 물론이고 우리 건축가에게 있어서 좀더 관계가 깊고 흥미 있는 것은 조선의 목공예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