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체들은 기하 급수적인 비율로 개체수를 증가시키려 애쓰고 있고, 각 세대 동안이나 세대 사이의 특정 시기에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해야 하며, 파멸의 위기를 겪어야 한다는 사실

이러한 생존 투쟁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볼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로 스스로를 위로할 수 있다. 자연의 전쟁이 쉴 새 없이 일어나지는 않고, 죽음은 대개 순간적이며, 어떤 두려움도 느끼지 않고 왕성하고 건강하며 행복한 자가 살아남아 번영한다는 사실 말이다.

이러한 유리한 변이의 보존과 유해한 변이의 배제를 나는자연 선택이라 부른다.

유용하지도 않고 유해하지도 않은 변이들은 자연 선택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고, 다형적이라 일컬어지는 종에서 볼 수 있듯이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요소로 남겨질 것이다.

1장에서 언급했다시피 생활 환경 조건의 변화는 특히 생식계에 어떤 영향을 줌으로써 변이를 유발하거나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 변이가 지나치게 많이 일어날 필요는 없다.

인간이 어떤 일정한 방향으로 단지 개체 차이를 조금씩 더해 나가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결과물을 얻어 낼 수 있듯이,자연 또한 그러할 것이다.

다만 자연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랜 시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쉽게 결과를 얻어 낼 뿐이다.

토종 서식 생물들이 서로 그리고 외부 환경에 완벽하게 적응되어 있어서 더 이상 개선이 필요 없는 그런 지역은 없다.

인간이 체계적인 선택과 무의식적인 선택의 방법을 통해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실제로도 그랬다면, 하물며 자연이 그리하지 못할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인간은 자기 자신의 이득만을 위해 선택하지만 자연은 자신이 돌보는 존재의 이득을 위해서만 선택한다.

우리는 시간의 손(hand of time)이 시대의 오랜 경과를 나타내는 흔적을 남기기 전까지는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그토록 느린 변화를 볼 수 없다.

사회성 동물에서 자연 선택은 전체 군집(community)의 이익을 위해 각 개체의 구조를 조정할 것이다.

성 선택은 생존을 위한 투쟁이 아니라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수컷 간의 투쟁에 달려 있으며, 그 결과는 패배자의 죽음이 아니라 그가 자손을 조금밖에 남기지 못하거나 전혀 남기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 선택은 자연 선택보다는 덜 가혹하다.

자연 선택은 오직 극히 소량의 대물림된 변이의 축적과 보존을 통해서만 작용하며, 이 변이들 각각은 보존된 유기체에게 이득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