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 확장판 -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몰입
황농문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깐만 봐야지 마음먹지만 유튜브, 인스타그램에서 알고리즘 추천으로 이어지는 숏폼 영상은 우리로 하여금 스마트폰 화면을 하염없이 보고 있게 만든다.
그렇다면 스마트폰으로 손상된 전두엽과 집중력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까? 가장 집중하기 어려운 대상에게 ‘집중하려는 노력‘, 즉 ‘의도적인 몰입‘을 해야 한다.]
- <몰입> 중에서


요즘은 정말 무엇인가에 집중하기 힘든 세상인 것 같다. 주변에 컨텐츠가 넘쳐나서 원하는 정보 뿐 아니라 원치 않는 정보까지 물 밀듯이 밀려든다.
특히 쇼츠라는 컨텐츠가 나오고 나서는 ‘도파민중독‘이라는 말이 일상적으로 쓰일 정도로 널리 퍼진 것 같다. 나 또한 여기서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책 읽어야지 마음 먹다가도 잠깐 휴대폰을 보게되면 1시간이고 쇼츠를 내리고 있는 나를 발견할 수가 있었다.

몰입은 17년 전에 처음 쓰인 책이라고 한다.
그때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해던 몰입의 힘은 컨텐츠가 넘쳐나는 지금 시대에 와서 더 중요해진 것 같다.
17년 연속 스테디 셀러를 하고 있었던 책인 만큼 읽기 전부터 기대감이 컸고,
요즘 부쩍 무엇인가에 온전히 집중하기 힘들었기에, 이 책이 나에게 더 확 다가온 것 같다.


이 책은 이야기 하고 있다.
제대로 몰입을 해본 경험은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고.
원하는 일을 이루기 위해 스스로의 힘으로 온전히 몰입을 해 본 경험은 결국 성취감으로 다가오고, 그런 좋은 기억들이 쌓여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도 긍정적으로 바뀌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자기 계발 서적들은 자주 이렇게만 하면 인생이 바뀐다고 하기에, 이런 이야기들이 크게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넘기기에는 정말 많은 사람들의 경험담을 담고 있었다.
그점이 이 책을 집중해서 읽을 수 있게 해주는 장점 중 하나였다.
평범한 사람들이 저자의 코치를 받고 진정한 몰입을 경험한 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어내는 모습이 신기하기도 하며 나도 그런 경험을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했다.

특히 의도적인 몰입을 통해 변리사 시험에 합격한 사례는 정말 흥미로웠다. 공부가 지긋지긋하고 우울하기 까지 했던 사람이었는데, 의도적인 몰입을 통해 공부 자체가 재미있어지고 삶이 즐거워지고 결국 시험을 수석으로 합격까지 했다는 이야기. 의도적인 몰입이 삶에 대한 태도에 까지 영향을 준 사례로 나와있었다.

그렇다면 저자가 말하는 의도적인 몰입이란 무엇일까?
나의 목표가 명확하고 간절함이 있을 수록 의도적인 몰입으로 다가가는 길이 더 쉽다고 한다.
계속해서 나의 목표를 생각하는 것이다. 밥을 먹을 때도, 잠들기 전에도, 잠에서 깨어나고 난 직후에도.
그렇게 생각하다보면 저절로 그 일이 내 안에서 가치있는 일이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절로 그생각을 하고 있게 되는 자신을 만나는 것이다. 그러면서 저자는 이 일에 시간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했다.
오랜시간 이 일을 반복하는 것. 저자는 ‘50시간 몰입의 법칙‘에 대해 이야기해준다. 몰입도 100%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략 3일이 걸리기에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난 50시간동안 오로지 주어진 문제만 연속적으로 생각한다면 몰입도가 100%에 달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게 쉬운 일은 아니다. 앞서 말했듯, 우리 주변에는 정말 많은 자극요소들이 있기에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생각하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기에 이 책에서는 약한 몰입과 강한 몰입을 구분하여 단계에 맞는 훈련 방법까지 알려주고 있었다.

이 책은 과학자가 쓴 책이기에, 사실 조금 어려운 부분들도 있었다.
전문용어들이 등장할 때는 눈에 잘 안들어와서 집중이 깨지기도 했지만, 그래도 전체적으로 의도적인 몰입의 힘을 느낄 수 있었던 책이었다.

지금 나도 계속해서 생각하고 있는 일이 하나 있다. 그 일을 자주 생각하지만 몰입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하루종일 생각하고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책을 읽고 난 후, 지금 나에게 중요한 그 일을 계속해서 생각하여 의도적인 몰입을 통해 이뤄내보고 싶어졌다.



p.36
[우리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되,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라는 경험은 피해야 한다. 대신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라는 경험을 해야 한다. 그래야 다시 그 혼신을 되풀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137
[일단 몰입 상태에 도달한 이후에는 조금만 집중력을 높여도 최대의 집중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이정도 수준에 이르면 다른 잡념이 완전히 사라지고 오로지 그 문제만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