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역사 - 외환위기부터 인플레이션의 부활까지 경제위기의 생성과 소멸
오건영 지음, 안병현 그림 / 페이지2(page2)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기의 역사는 외환위기부터 인플레이션의 부활까지 경제 위기의 생성과 소멸에 대해 1997IMF 외환위기,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네 번의 위기를 통해 되돌아보고 현재를 사는 경제적 관점에서 위기를 교훈 삼아 앞으로 경제적 위기가 왔을 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이었다.

 


외환위기 때 기억나는 것은 해외에 달러를 빌려 투자를 했던 기업들이 대출을 갚지 못해 상환 요청을 받게 되고 국내 보유 달러가 부족했던 우리나라는 IMF에 달러를 빌리게 된다. 긴축을 통해 허리띠를 졸라매야 했고 부채가 많았던 대기업들도 외환위기의 파도를 견딜 수 없이 줄줄이 무너져 내렸다. 대규모 실업 발생으로 그 당시 아버지 세대들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상상도 할 수가 없다. 가계를 이끌기 위해 일하던 아버지들은 실업자가 되고 취업의 문은 바늘구멍보다 작았기에 얼마나 고통스러웠을지. 국가 부도의 날의 한 장면이 떠오른다.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가장의 모습에서 마음이 아팠다.



 

닷컴 버블

닷컴 버블은 단순히 비싼 기술주들의 하락에 그쳤던 것이 아니라 1990년대 내내 10년간 강한 성장세를 이어오던 미국의 실물경기 둔화를 초래한 사건이었습니다.

 

닷컴 버블 시기 닷컴이라는 말만 붙으면 주가가 급등했고 계속 상승할 것만 같았던 나스닥 지수는 5,100포인트를 넘기며 정점을 찍은 후 급락하여 닷컴 버블이 생긴다.

 

닷컴 버블을 통해 강세장에 취해 있는 투자자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가져다주었고 그 안에서 교훈을 배울 수 있다. 과도한 욕심은 투자에 큰 실패를 나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닷컴 버블을 통해 적극적인 IT 기업 투자 덕분에 기술 발전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금융위기

 

2008915일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왔습니다. 하지만 20088월에도 이미 금융위기의 징후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함께 찾아온 인플레이션을 제압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진 신흥국들은 경제 성장이 무너질 수 있다는 두려움 속에서도 금리 인상과 같은 긴축을 단행할 수밖에 없었죠.

 

리먼 브러더스 파산으로 대형 은행도 파산 위험을 피할 수 없었다. 은행끼리 서로 믿지 못하고 돈이 돌지 않고 현금이 부족한 은행은 결국 파산할 수밖에 없고 돈이 돌지 않으면 기업과 가계가 무너지기 시작하여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단순히 파생상품 투자로 인한 금융기관 부실로만 보지 말고 글로벌 불균형에서 금융위기를 큰 숲에서 볼 수 있어야 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원인 3가지

 


첫째, 글로벌 유동성 증가로 주택 가격 상승, 많은 양의 AAA 채권 만들어짐.

둘째, 디레버리징

셋째, 글로벌 총수요 감소

 


금융위기로 많은 투자자는 주식시장에서 큰 손실을 맛보아야 했고 양적 완화를 통해 경기 부양을 위한 노력을 펼쳤다. 글로벌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연준과 한국은행은 600억 달러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했는데 스와프는 말 그대로 밑 빠지는 독에 구멍을 막는 역할이다. 이것으로 막으면 다행이지만 또 다른 위기가 오면 잠시 막아 놓은 구멍에 더 큰 구멍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자.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지 않기를 바라며 위기를 대비할 힘을 기를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그리고 인플레이션

 

코로나19 사태 당시 풀려버린 어마어마한 현금 유동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졌고, 인플레이션을 제압하기 위해 금리 인상이 이루어졌죠. 그리고 뜻밖에 찾아온 과격한 금리 인상에 자산 가격이 크게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당시 금리는 연 1%이었고 초저금리 시대로 많은 사람이 주식과 부동산으로 영 끌 하는 사람이 늘어났고 주택과 코인 가격은 빠르게 올랐고 너도나도 투자해야 한다고 투자 시장으로 뛰어드는 것을 목격하게 되었다. 인플레이션 지속으로 연준은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올리는 선택을 하게 되는데. 인플레이션을 잠재울 수 있을까 하는 물음을 던지게 한다. 각각 위기를 통해 배울 점이 많은 것 같다.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 위험을 대비한다면 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하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07-31 14: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위기는 반복되는 것 같아요, 인간의 탐욕 때문에,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