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 2021 뉴베리상 대상 수상작 ㅣ 꿈꾸는돌 28
태 켈러 지음, 강나은 옮김 / 돌베개 / 2021년 4월
평점 :
"어떤 이야기들은 갇혀 있기를 거부한다."
표지만 봐도 뭔가 신비로운 분위기가 감돈다. 거대한 호랑이가 신비한 유리병에서 별가루들과 함께
빠져나오는 것인지 빨려들어 가는것인지 알수없는 그림이 그려져있다. 확실히 판타지한 이야기들이 펼쳐질것만 같은 기대감을 갖게 한다.
갇혀 있기를 거부하는 이야기들을 얼른 만나보고 싶어 호기롭게 첫장을 펼치곤 뭔가 빨려들어가듯 쉬지않고 읽어내려갔다.
2021년 뉴베리상 수상작인 이번 책은 한국인인 외할머니와의 추억이있는 한국계 미국인인 태 켈러의 작품이다.
어린시절 할머니로부터 한국의 옛이야기를 듣고 자란 덕분에 소설에는 우리에게 친숙한 설화들이 녹아있다.
'해님과 달님'이 소설의 모티브이고, 우리에게 친숙한 호랑이가 이야기에 주축을 이루어 등장한다.
이야기의 구성도 색달랐지만 우리의 전래동화와 미신과 관련된 오래된 관습이 미국인인 그녀의 삶과 적절히 섞여있어
읽는동안 뭔가 이색적인 느낌이었다. 알고 있는 내용의 동화와 조금은 친숙한 관습들이지만 다른 느낌의 이야기들인것 같았다.
조용한 아시아 여자아이인 주인공 릴리는 교통사고로 아빠를 잃고 아픈 할머니의 간호를 위해 엄마, 언니와 함께
캘리포니아에서 워싱턴주로 이사를 하게 된다. 그날은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날이었고, 차안에서 엄마는 어김없이 언니와 말다툼을 벌인다.
그러던중 릴리의 눈에만 보인 커다란 호랑이 한마리. 꿈인듯 생시인듯 믿기지 않는 장면을 얼른 할머니께 이야기 하고 싶어진다.
그리고 알게된 호랑이의 정체. 릴리는 가족을 위해 선택해야한다.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자신을 위해, 이민자인 할머니와 엄마를 위해
투명인간인듯 조용히 지내고 있던 릴리의 가슴속에 스파크가 튄다. 그리고 할머니와 그녀가 감추고 있던 가슴속 숨겨두었던 고통과
릴리 자신의 본연의 모습들과도 마주하게 되는데 지루할 틈 없이 이야기가 전개되어 읽는동안 마법에 빠진 느낌이었다.
'이렇게 가족이 화합하고 결속될 수 있구나!', '이야기의 힘이 이토록 강인하구나!'를 느끼게 되었다.
숨겨두고 말하지 않았던 이야기를 풀어내며 할머니도 릴리도 강해졌다. 그리고 무한한 이야기의 힘으로 빛을 만들었다.
책장을 덮고 뭉클 가슴이 벅찼고, 눈물이 흘렀고, 앞세대 어른들의 고난과 용기에 박수를 보내고 싶어졌다.
뿌리를 찾아가며 만난 호랑이 소녀가 어쩌면 세대를 거슬러 올라가 나의 뿌리인 조상이었고, 또 어쩌면 지금 그들의 후예로 살고 있는 릴리였고,
책을 읽고 있는 우리였을지도 모르겠다. 동화같은 장편 소설 한권을 읽으며 나의 이야기도 풀어보고싶어졌다.
이야기의 힘은 강하다는것을 확실히 믿게 되었으니 말이다. 오랜만에 벅찬 감동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었던 책이었다.
“그래도요 할머니, 슬픈 이야기를 숨기는 건 안 좋은지도 몰라요.
말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일들이 일어나지 않은 게 되는 건 아니니까요.
숨긴다고 해서 과거가 지워지는 것도 아니에요. 갇혀 있는 것뿐이지..”
-p.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