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 창조자 - 똑같이 주어진 시간, 그러나 다르게 사는 사람들
로라 밴더캠 지음, 송연석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어릴 때는 퍼내어도 줄지 않는 소금배처럼 닳지 않는 것이 시간이었는데,
어른이 되니 왜 이렇게 하루, 일 분 일초가 빠른지 모르겠다. 물론 빠르게 지나가는 때에만.
학생 때는 재미도 없는 공부 흉내 내느라 책상에서 시간을 보내고, 이제는 그와 더불어
돈까지 벌어야 하니 정작 내가 하고 싶은 일들을 할 시간이 없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시간 창조자를 읽으며 그 생각은 정말 '생각'일 뿐이었다.
누구에게나 모두 똑같이 24시간x7일=168이란 시간이 주어지는데 그 중 대부분의 시간을
나는 많이도 흘리고 있었던 거다. 시간이 없다는 핑계와 하고 싶다는 공상으로.
물론 정말 시간이 모자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수면시간 8시간을 제외하고 10시간
이상을 일한다던가 하는 사람들. 나는 물론 그렇지 않은 부류이다.
불규칙했지만 이제는 주당 일하는 시간이 40시간도 되지 않아서 더욱 반성하며 책을 읽어나갔다.
이런 큰 시간들 속 하고 싶은 일들을 쪼개어 넣는 작업은 특히 나를 반성하게 했다.
새해에 소극적으로 결심했던 책 읽기와 운동도 그렇다. 오히려 처음 일을 시작할 때
파김치가 되어 귀가한 뒤에 더 많이 읽었던 것 같다. 물론 피곤해서 오래 시간을 할애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10분, 15분씩지만 며칠, 길게는 일주일 정도면 책 한 권을 읽을 수 있다.
많은 권수는 아니지만 정작 이런 짜투리 시간들을 고스란히 놓쳐버리고 한 권도 읽지 못하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그런데 요즘은 그 작은 시간을 무시하고 책 읽기에 시간을 보내지 않고 있는 거다.
피곤하다며 tv앞에서 혹은 다른 일을 하면서.

하루종일 쓸모있는 일을 꼭 해야만 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세워둔 계획을 꼭 실천하고 싶다면, 하고 싶은 일들이 많다면 꼭 추천해 주고 싶은 책이다.
남녀노소, 특히 저자가 아이의 엄마여서인지 맞벌이 가정의 주부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챕터도
포함되어 있어서 모든 사람에게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정말 시간이 없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것부터 현재의 쓸모없는 시간을 정리하는 법을 포함,
뿌듯한 시간을 만들고 보낼 수 있는 방법들로 꽉 차 있다.
이 책을 읽으며 어린시절 방학때마다 세웠던 생활계획표가 떠올랐다. 내 하루 일과를 파악한 뒤
남는 시간에 맞춰 내가 하고 싶은 일들 중 시간과 중요도에 따라 배치한다면 나는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마치 나에게만 특별히 누군가가 시간을 선물해 준 기분이 든다.
물론 어느 일에서나 그렇듯 실천을 해야 이뤄지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