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답게 살고 있냐고 마흔이 물었다 - 설레거나 시시하거나 이대로가 좋은 나이
김은잔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대 때는 나이에 대한 생각이 크게 없었고, 20대는 자유로움에 취해 바쁘게 살았고, 그러다 30대가 됐다.

나는 30대 직전 30대를 주제로 한 유명하다 하는 심리학책을 모조리 섭렵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30대가 되면 내 삶이 완전 송두리째 뒤바뀌어 버릴 것 같은 나도 모르는 불안감에 미리미리 준비하고자 그런 심리학책을 찾아 나름의 준비를 했던 거였다.

아직 30대 중반을 살고 있지만 때 이른 준비일지 모르지만 나는 또다시 40대에 관한 서적을 꺼내 들었다.

40대는 지금 나의 인생에서 가장 많은 나이일 테고 앞으로의 인생 중 그래도 젊다고 생각하게 될 40대를 나는 조심스럽게 여려 권의 책들로 또다시 준비를 하려고 한다.

오늘 내가 소개 해볼 책은나답게 살고 있냐고 마흔이 물었다이다.

저자는 40대를 미혼으로 넘어가서 사는 대한민국의 여성이다. 나의 미래가 될지도 모르는 동질감이 느껴지는 저자의 상황 때문에 나는 이 책에 관심이 갔다.

<<part1>> 완성형이 아닌 지금 이대로도 괜찮은 나이

책에서 미혼과 비혼의 정의를 간결하게 한 줄씩으로 설명해 준다.

[미혼] 혼인 상태가 아님을 뜻하는 용어

[비혼] 혼인할의지가 없음을 뜻하는 용어

라고 한다. 나는 미혼일까? 비혼일까? 아마도 그냥 자연스럽게 시간이 흘러 30대 중반의 미혼 상태의 여성이지 않을까 싶다. 나는 아직 비혼을 꿈꿔 본 적은 없으니 말이다.

저자는 나이 들어 좋은 것은지난 40년을 되짚어보니 앞으로의 40년도 큰 반전 없이 끝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만, 그래도 나는 지금이 그냥 괜찮다.” “지금은 마흔까지 오느라 고생한 자신에게 셀프 칭찬을 해줘도 좋은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어느 날 나도 거울을 볼 때 얼굴에 하나둘 늘어나는 주름과 그간 안보였던 세 치가 보일 때면

“ 이야~~ 너 열심히 살았구나?”라며 나의 나이 들어감을 수고 했다며 칭찬해준다.

인생은 속도보다 방향성이니까~

지금 당장 이룬 것이 없다 해도 괜찮다 생각된다.

<<part 2>> 나이 들어도 멜로가 체질이라서

나이가 들면 사람들은 기대치가 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일까? 30&40대 사람도 알콩달콩 연애를 하고 싶은데 그러면 안 되는 것인가? 저자는 우리는 정신을 단단히 잡고 다시 한번 똑바로 일었어야 한다. 지금의 연애를 즐기고 사람을 볼 줄 알아야 한다. 상대와 나의 진짜 마음을 봐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맞아 맞아!! 사람이 나이를 먹었다 해서 취향이 변하는 것도 아니고 바라는 것이 바뀌는 건 더더욱 아니다. 저의 기준에서는 기독교이며 담배를 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이 이상형은 영원불변인 것을..

너는 나이가 어느 정도 있으니 다 포기하고 눈을 내려 불교만 아니면 되잖아? 라는 이상한 조언은 사양하겠다.

저자는 진짜 인연과 결혼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저자도 아직 가보지 못한 길이기에사랑을 시작할 때 묻고 싶었다고 한다. 당신이 진짜 마지막 인연이 맞느냐고, 늘 그랬듯 강한 확인과 대답은 역시 들려오지 않았다고 한다.” 꼭 귓가에 종이 울리지 않아도 지금 당신이 만나고 있는 그 사람이바로 그 사람일지도 모른다고 저자는 말한다.

<<part 3>>  때로는 과감한 멈춤과 리셋이 필요한 관계

삶의 시간을 보내오면서 학교, 사회 속에서 인간관계를 맺어가고 맺었던 인연을 풀어 가기도 한다. 그러는 시간 속에서 의미가 있고 살아가게 되는 거겠지? 저자는 지금 당장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관계의 단절을 겪어야 할 시간이 생길지도 모르지만, 더 임팩트 있는 관계를 맞이하는 날이 올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의미 있는 인연을 기대하며 살아가고 싶다고 한다.

<<part 4>>  적당히 설레고 시시하게 살면 어때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감사한 일이다. 내 삶의 경험들이 쌓여 나의 삶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가고 있는 과정 중 하나이니까 저자는나이가 들수록 자연스럽다는 말이 좋다라고 했다. 우리의 하루하루가 모여서 당신의 30 40 50대가 된다. 활기찬 아침을 깨우고 건강한 습관들이 모여서 우리의 삶이 되는 것이다.

저자는 단순히 40대가 되어 보니 어떤 하 다를 설명하고 있지 않았다. 40대는 젊은 나이이고 충분히 목표를 세워 그것을 바라보며 삶을 살아가기에 충분한 나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상황과 감정을 하나하나 느끼며 살아가기를 바라고 있다.

아직 살아보지 못한 40대의 그 시간을 한 권의 책으로 미리 경험해 봄으로 인해 내 삶을 더욱 감사하며 유연한 마음가짐으로 준비하며 살아갈 수 있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