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자고 결혼했을까 - 결혼을 인생의 무덤으로 만들지 않기 위한 애착의 심리학
오카다 다카시 지음, 유미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매니큐어를 가지런히 바른 여자는 찌푸린 얼굴을 감싼다. 한 발짝 떨어진 남자는 언짢은 표정으로 넥타이를 고친다. 진분홍의 배경은 경고음을 울리는 듯하다.

 

 

   나에게 결혼이란 삼남매의 둘째로 태어나, 언니와 남동생이 있어 가장 행복한 순간들 중 하나이다. 내가 기억하는 가장 어릴 때부터 꾸준히 높낮이 없이 결혼은 안할 것이란 말은 이제 어머니에게 어느 정도 수용된 듯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언성의 높낮이 없이, 대화의 길이의 차이가 없이 한 결같이 주장하는 것이다.

   결혼적정나이라는 말의 의미가 희미해지는 것 또한 기쁜 일이다. 이번 프로듀스 101 시즌2를 보면서 보아가 제일 예뻤던 나는 보아가 누군가와 교재를 하던 군대를 기다리던 결혼을 하던 그녀가 예뻐 보였다.

   사람마다 사랑의 정의가 다르듯이 결혼이라는 정의에도 차이가 있다. 결혼에 대한 생각이 같은 사람끼리 결혼을 한다면 순탄한 결혼 생활을 이룰 수 있을 것이고, 상반된 방향을 가진 두 사람이 결혼을 한다면 그 후의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결혼한 후 후회하고 절망하는 두 사람의 기본적인 성향의 차이에 초점을 둔다. 사람의 성향은 부모로부터의 사랑, 가정에서의 위치, 사회적 성취 등 생의 초기에서부터 만들어진다. 그리고 만들어진 애착의 차이가 클수록 의견의 차이가 많아질 수 있다.

   이 책을 읽고서 더욱 마음을 굳히게 되었다. 나는 결혼을 할 생각이 없다. 많은 사람들 중에서 나와 같은 애착의 정도를 가진 사람을 찾기 힘들고, 나와 다른 사람에게 맞춰주거나 그 사람을 바꿀 용기가 없다. 결혼은 새로운 세상일 것이다. 누군가는 시도조차 하지 않음에 비웃을지 모르지만, 그리고 내가 변할지도 모르지만 지금의 생각을 바꾸기 쉽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