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노엄 촘스키 지음, 구미화 옮김, 조숙환 감수 / 와이즈베리 / 2017년 1월
평점 :
품절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노엄 촘스키, 와이즈베리

 

나는 누구인가, 세상은 다수인가 하나인가. 인간이란 사명인가 아무것도 아닌 존재인가.. 알에서 깨어나 새롭고 차가운 공기를 마신 나는 이런 물음들을 주머니에 들고 다녔다. 불투명한 미래와 현실의 공허를 걱정하느라 인간 자체는 무엇인지, 나와 조상과 후배들의 초상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우리의 목소리와 입술과 눈과 손바닥의 세포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 인간론에 대해 접해보지 않아 기본지식부터 익히느라 시간이 걸렸지만 천천히 읽으면서 촘스키의 말에 고개 끄덕일 수 있었다.

 

인간의 언어 습득을 적합하게 설명하기에는 세상의 경험은 질적으로 빈곤하여 역부족이다라고 자극의 빈곤성의 근거를 들며 내가 생각하던 언어의 중요성을 넘어버렸다.

모든 언어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표현들의 무한집합을 제공하며, 각각의 표현은 두 개의 접합면에서 해석이 된다. 그중 하나는 표출을 위한 감각운동 접합면이며, 다른 하나는 사고 처리를 위한 개념-의도 접합면이다.

 

언어는 유한한 수단의 무한한 활용을 수반한다.”

인간임을 보여주는 언어의 특성을 한 문장으로 나타내면 이 문장으로 완성되지 않을까. 이 문장은 1장의 소제목으로 나타났지만 그 전부터 촘스키는 다른 학자들의 말을 빌려 거듭 강조한다.

 

매일 새로운 책이 수십 수백 권 출간되고 세상에 떠돌지만 하나하나 다른 사람이듯이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같은 언어를 사용함에도 이렇게나 다를 수 있을까 싶을 때도 있었다. 한 세기 전에부터 그런 의문을 제기했다고 하는데 하나의 의문이 본질을 파악하는 때가 있다.

 

1장은 언어학문의 기초적인 이론이 많았다. 언어학과 나는 접점이 없어 한 장의 진도가 나가기 힘들었을 때 영어영문학과인 언니의 도움을 받아 간단히 언어학의 전반에 대해 설명을 듣고 물으면서 속도를 붙이기 시작했다.

 

2

언어와 이해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듯이 촘스키는 1장의 언어의 파생된 이야기들과 연관지어 이야기한다. “발음하는 행위는 우리의 사고와 별개로 존재하는 세계에 구체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p104. 언어의 단위와 외적 실체를 찾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우리는 문제와 미스터리를 늘 말하고 인지한다.

아직은 우리의 이해를 100%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의 의견으로 마무리한다.

 

2장까지 읽으면서 다소 촘스키 그가 인간의 본래적 선함을 찬성하는 사람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3장의 에덤 스미스의 말을 인용한 부분에서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 뒷부분에서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악한 부분에의 사회적 선한 작용 또한 언급한다.

3장에서는 산업혁명과 민주주의, 자본주의의 역사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며 상하구조, 노동자 문제 등에 대해 비판한다.

 

1장에서는 인간의 내부를, 2장에서는 인간의 외부를, 3장에서는 인간과 둘러싼 사회에 대해 말하였다면 4장에서는 그 모든 것들과 지구 전체에 물음을 던진다. 진리인 것처럼 공부했던 물리주의와 유물론의 한계, 환원주의와 환원 가능성,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철학 등을 말한다. 지구적 범위인 만큼 다양한 학자와 학문이 있다. 그래서 이 장이 가장 길고 크게, 모든 것들을 망라한다.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느꼈다.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학자들과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그것뿐이었던 가벼운 글자들을 크게 부풀려 무겁게 만들어준 책이었다. 노엄 촘스키, 이 사람만으로도 모든 학문의 기초를 쌓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