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단경로 - 제25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강희영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2월
평점 :
네비게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최후의 1인이 되리라 다짐했던 시절이 있다. 기계로는 알 수 없는 교통상황도 있을 것 같았고 길들의 특성은 고려되지 않았음이 탐탁치 않았다. 하지만 새로운 길을 가려 할 때 네비는 유용하여 조금씩 사용하다보니 이제 가까운 거리조차 그것의 지시에 따르고 있다. 거대한 흐름과 편리한 체제에 저항하기엔 한 인간의 의지는 그렇게 굳건하지 않다.
작가는 남자임에도 불구하고 여자들의 언어로 소설을 적어내려가고 있다. 쉬운 길을 버리고 그런 경로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이성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계기로 삼는 것인가. 소설 역시 이 시대에 쉽게 사용되는 단순명쾌한 텍스트는 아니다. 쉽게 정답인 듯한 것만을 선택한다면 인생은 숨겨놓은 트랙 따윈 없을 것이다. 이반이 첼로가 직접적이고 편안해서 떠났듯이 우리는 합리적인 선택과 한가로운 풍경만으로 인생을 구성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혜서는 진혁이 숨겨놓은 트랙의 진실을 찾아 떠나게 된 것이다. ‘마약운반책이 된지도 모르는 절실하고 어리숙한 여행자’가 되고 싶지 않았기에. 진실을 포착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성은 때론 이상한 길과 길을 연결시켜 주기도 한다. 그렇게 혜서와 애영은 만나게 된다. 애영은 아이와 엄마를 잘못된 경로로 안내한 맵에 의해 잃고 안락사를 준비하고 있다. 잘못된 시스템에 의해 가장 소중한 부분을 상실한 그녀는 합법적으로 잘잘못을 우리가 결정하지 못한 안락사라는 시스템을 이용해 그들과 같은 죽음의 길로 가려고 한다. 혜서와 마이레는 그 과정에서 만난 일종의 변수이다. 그녀들의 공감과 연대는 알고리즘으로 파악할 수 없는 것이고 그들에 의해 경로는 이탈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민주가 혜서를 바라보며 느끼는 그녀의 행동의 패턴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일반적인 판단이 아니기 때문이고 상대방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이해와 관심으로 해석능력을 탑재하게 되고 이것이 우리가 기계와 다른 핵심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브리엘이 작업한 알 수 없는 문자가 따라오는 아트에서 우리는 우리가 아는 언어만이 의미를 가지게 되듯 본인의 영역 이상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고 우리가 알 수 없는 일들에 심란스러워지는 과정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주는 우리가 아는 언어가 제대로 구현되고 있는가 정도일 것이고 이것이 인생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현재 문물에 지배당하는 우리가 정신을 붙들고 해야 할 것들은 최단경로에 몰입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인식과 해석의 과정, 혹은 가치의 투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