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슈퍼 乙 전략
전병서 지음 / 경향BP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중 냉전시대, 반도체 전쟁,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Chip4(반도체 동맹) 등....

요즘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이다.


하도 많이 듣다보니

미국과 중국이 서로 힘겨루기를 하는 것까지는 알겠는데,

여기에 반도체가 왜 등장하고,

우리나라는 왜 주목을 받는 것이며,

공장을 어디에 짓는지 마는지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궁금한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한국 반도체 슈퍼 乙전략>은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에서

한국이 가져야 할 전략에 대한 책이다.


일단 과거와 다르게

정보화 시대에 반도체는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필수 물자이다.

비유하자면,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석유'와도 같은 존재이다.


따라서 미·중 반도체 전쟁은 단순한 산업 경쟁이 아니라

국가 안보와 직결된,

다시 말해,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의 체제간 패권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와 대만이 주목을 받는 데는 명확한 이유가 있다.


특히 한국은 미국와 중국에게 모두 필요한 나라이다.


왜냐하면 미국은 대만의 TSMC(파운드리: 반도체 생산)를 끌어들였으나, 배터리는 없고,

중국에는 CATL(배터리)이 있지만 반도체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삼성전자(파운드리)와 LG에너지솔루션(배터리)이 모두 있다.





애널리스트 업계에서 살아있는 전설로 불리는 작가 전병서는

17년간 반도체와 IT 애널리스트로 일했고,

그 후 18년간 중국 경제와 산업을 연구했다.


반도체 산업과 중국 경제에 관심이 많은 작가는

한국이 반도체 산업에서 세계적으로 우뚝 서야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한국이 당당하게 설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은 총 8개의 파트로 되어 있다.


앞으로 한국이 취해야 할 전략도 중요하겠지만,

오히려 이 책의 묘미는

현 상황을 정확하게 짚어준다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의 프렌드쇼어링(동맹국들과 공급망 구축) 전략의 의도와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술의 현 주소 등을

보기 편한 표와 그래프를 통해

잘 설명되어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광해군의 중립외교가 떠올랐다.


물론 사실관계는 차이가 많이 나지만

현재 세계의 정세에서는 국익을 우선으로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의 동맹에서 벗어나는 두려움과

중국의 보복 공포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가 살아남는 길은 '대체불가기술'을 확보하여

미국과 중국이 절대 무시하지 못할

슈퍼 을의 길로 가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