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에게 들려주는 헌법 이야기 - 2022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이득진 지음 / GIST PRESS(광주과학기술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이라는 건, 막연하게 알고는 있지만, 아이들이 정치적인 이야기, 법의 카테고리 안에서 물어볼 때, 아이의 시각과 아이의 눈높이에서 설명해주기 어려울 때가 많았다. 이 때, 실제 아이에게 대화하는 듯 다양한 실례와 적용할 수 있는 범주의 설명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책을 읽고 소개하고자 한다.


단순하게 어렵게 접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아빠와 딸의 대화를 통해, 헌법과 관련한 주제를 도출해 내고, 그에 대한 법 이야기를 대화체로 말하듯이 쓰고 있다는 특장을 가지고 있고, 전문적이고 생생한 법 이야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용어와 다양한 자료(통계자료, 그림자료)가 수록되어 있어서, 술술 읽어내려갈 수 있어 좋았다.


초반에 읽으면서 기억에 남는 주제는 헌법의 시작과 유래였다. 국가가 헌법을 만들까? 헌법이 국가를 만들까? 이 내용을 딸의 질문에서 시작된다. 헌법이 그렇게 중요한 거라면서, 헌법이 없던 옛날에는 어떻게 살았을까? 고대나 중세 시대에는 통치를 편하게 하기 위산 통치 규범이 있었고, 근대에 들어서, 입헌주의 헌법이 등장했고, 이는 '국가가 헌법을 만드는 현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정리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 책을 쓴 작가는 헌법을 우리에게 주어진 놀랍고 아름다운 선물이라고 지칭한다. 헌법의 힘은 전적으로 이를 수호하고자 하는 각 시민들의 결단에 달려있다고 말하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인용하며, 선한 사람을 위해 어떤 나라가 좋은 것인지.. 그에 대한 본질적인 답을 헌법에서 찾고자 하였다.


법이라는 것을 어렵게만 여기고, 정치와 법의 적용에 대한 해석에 대해 난해하다고 넘겼지만, 이 책을 통해 아이들과도 법에 대해 가볍게 대화할 수 있고, 선한 영향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